남길남 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자본시장연구원 주최로 열린 ‘2018년 자본시장 전망고 정책방향’ 세미나에서 “정책이 혁신기업 지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만큼 단기과열 등 부작용 우려를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남 실장의 지적은 최근 발표된 금융당국과 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정책과 관련이 있다. 앞서 정부는 코스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제,금융지원을 확대하고 코스피,코스닥 통합지수 개발 등을 실행키로 했다. 적자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혁신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의 상장을 유도하는 ‘테슬라 요건’ 확대 등 코스닥 증시 상장 문턱도 대폭 낮췄다.
남 실장은 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코스닥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현재 코스닥시장 구성종목 대다수가 규모가 작고 관련 기업분석도 제대로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자본연에 따르면 현재 코스피 상위 100개 종목이 증시에서 차지하는 시총 비중은 83%에 달한다. 코스닥 100개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51%에 그친다. 시장 규모가 코스피시장에 비해 지나치게 작다는 얘기다.
코스닥 상장사에 대한 정보 제공 노력이 미흡하다는 점도 문제다. 작년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기업분석 보고서 비율은 73.6%에 달한 반면, 코스닥기업은 전체 26.2%에 불과했다. 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선 분석보고서가 증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신설 통합지수 역시 시장 여건상 제약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통합)지수는 안정성을 위해 당초 제시한 코스피와 코스닥 두 시장의 시가총액 비율 85대 15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코스피200 지수와 보다 유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남 실장은 “코스닥시장에 대한 단기적 지원에 그치는 게 아니라 시장이 구조적 도약을 할 수 있도록 양적 목표보다 혁신 기업 지원을 위한 자본시장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질적 성장이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혁신기업 지원 노력을 펼치는 과정에서 단기과열 등 부작용에 부딪혔던 역대 정부들의 사례를 참고해달라는 주문이다.
그러면서 “2016년부터 코스닥 관련 상품은 꾸준히 증가했고, 자금유입도 늘었다”고 평가했다. 이날 한국거래소와 제로인 등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코스닥 인덱스 펀드와 상장지수증권(ETN) 등 관련 상품 순자산 총액은 3조5000억 원을 넘어선 상태다. 이어 “다만, 혁신성에 대한 전문적 분석과 평가가 가능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남 실장은 중소형주의 실적 개선 추세가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코스닥 상위 3%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올해 15%에 근접할 전망이다. 상위 3~10% 기업은 약 7%, 그 외 기업의 경우 4%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