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4년 만에 '2030 서울생활권계획' 완성…"非강남권 발전 모색"

입력 2018-03-08 07: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출처=서울시)
(자료출처=서울시)
서울시가 4년 만에 '2030 서울생활권계획(이하 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최종 완성하고 8일 공고를 기점으로 본격 가동한다.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3~5개 행정동 단위)으로 세분화해 각각의 목표와 실천전략(총 493개 목표, 1126개 실천전략)을 수립했다.

생활권계획은 최상위 법정 도시계획인 '2030서울플랜'의 후속으로 마련됐다. 주거, 산업‧일자리, 교통, 복지, 교육과 같이 서울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이슈들에 대한 발전구상을 생활권별로 담아낸 국내 최초의 생활밀착형 도시계획이다. 자료는 총 30권, 6000여 쪽이 이른다.

5개 권역(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7개 이슈(△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로 제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도시공간은 권역·지역의 기능과 역할 강화를 통한 지역 자족성 강화 방안을 담았다. 대표적으로 상암·수색(서북권)은 수색복합역사와 경의선 상부부지를 활용해 영상·미디어·R&D 기능을 확충해 디지털미디어 거점으로 육성한다. 청량리역(동북권)은 복합환승역사를 통해 교통·상업 중심지로서 기능을 강화한다.

산업·일자리 방안은 특성화된 산업을 발굴·육성해 고용과 경제기반을 활성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예를 들어 가산G밸리(서남권)는 4개 권역으로 나눠 도심형 산업, 패션·디자인, 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한 창조산업중심거점으로 육성한다. 신촌 일대(서북권)는 대학과 연계해 청년창업 거점으로, 상일동 일대(동남권)는 첨단 업무단지와 엔지니어링 복합단지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주거정비는 주거지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비·보전·관리방안을 담았다. 상계·월계(동북권)는 노후화된 택지개발지구의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구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으로 체계적 정비에 나선다. 불광동·홍은동·성산동 등 일대(서북권)는 1인가구, 어르신 등 맞춤형 공유주택 도입을 유도한다.

복지·교육은 각 지역별로 필요한 복지‧교육시설에 대한 공급 방안을 담았다. 1~2인 가구 비율이 높은 혜화동·장충동(도심권)의 경우 문화·체육시설을 확충한다.

또한, 생활권계획에는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권역생활권은 각 자치구별로 서울시 평균 보급률보다 낮은 시설, 지역생활권은 3가지 조건(△지역주민이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시설 △보행 10분 거리, 800m 이내 시설이 없는 경우 △서울시 평균보다 보급률이 낮은 시설)을 만족하는 시설을 각각 우선 확충이 필요한 대상으로 선정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통해 2014년에 수립한 '2030 서울플랜'(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중심지 체계(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방안을 수립했다. 특히,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역별 인구, 일자리, 상업지역 비율 등을 고려해 배분 물량(134만㎡, 유보물량 제외)의 70% 이상을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에 배분했다.

신규 상업지역 지정은 지역별로 배분된 물량 범위 내에서 자치구가 개발계획과 연계한 세부계획을 수립해 시에 요청하면 중심지 육성방향, 공공기여의 적정성 등을 고려해 지정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생활권계획에서 정한 중심지 내에서는 제3종일반주거지역 이상인 지역을 원칙으로 상업지역 지정 검토가 가능하다.

서울시는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계획의 방향과 내용이 향후 서울시의 모든 관련 하위 계획(법정·행정·도시관리)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각종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지구·구역, 기반시설, 도시개발사업, 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수립시 검토·심의 과정을 거치고, 실행과정 중에도 생활권계획 반영 상황을 진단 및 평가해 반영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주거시설이 낙후됐거나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생활권 중 2~3곳을 연내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이슈별 목표와 실천전략의 실제 진행상황을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해 향후 계획에 활용할 예정이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생활권계획은 4년 간 많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로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 이며,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한 도시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며 "서울 모든 지역의 발전구상을 빠짐없이 촘촘하게 담은 만큼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큰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은 금통위, 2회 연속 인하·부총재 소수의견·1%대 성장 전망 ‘이변 속출’ [종합]
  • ‘900원 vs 150만 원’…군인 월급 격세지감 [그래픽 스토리]
  • ‘고강도 쇄신’ 롯데그룹, CEO 21명 교체…신유열 전무 부사장 승진 [2025 롯데 인사]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원·달러 환율, 기준금리 ‘깜짝 인하’에도 오히려 하락
  • "출근해야 하는데" 발만 동동…일단락된 '11월 폭설', 끝이 아니다? [이슈크래커]
  • 단독 론칭 1년 만에 거래액 1억弗 달성 ‘트롤리고’…내년부터 원화 결제 추진
  • 정몽규, 축구협회장 4선 노린다…허정무와 경선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958,000
    • +2.07%
    • 이더리움
    • 5,042,000
    • +5.84%
    • 비트코인 캐시
    • 712,500
    • +2%
    • 리플
    • 2,046
    • +3.81%
    • 솔라나
    • 332,300
    • +1.93%
    • 에이다
    • 1,394
    • +2.8%
    • 이오스
    • 1,116
    • +0%
    • 트론
    • 277
    • -0.72%
    • 스텔라루멘
    • 680
    • +2.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600
    • +6.08%
    • 체인링크
    • 25,080
    • -1.18%
    • 샌드박스
    • 834
    • -4.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