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의료장비 보유 대수, 병상 수, 의료이용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요양병상 수는 OECD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보건의료 자원공급현황과 이용행태에 관한 '2011~2016년 보건의료 실태조사'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복지부는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2001년부터 5년 주기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보훈·자동차보험·산재보험 등의 자료를 망라해 조사하고 있다.
2016년 보건의료기관 수는 8만9919곳으로, 조사 기간(2011∼2016년)에 연평균 1.6% 증가했다. 2016년 요양병원은 1428곳으로 연평균 7.6% 늘었다. 이 기간 300병상 이상 요양병원은 31.5% 증가해 요양병원이 점차 대형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6년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전체 병상 수는 67만1868병상으로, 인구 1000명당 병상수(13.0병상)는 OECD 회원국 평균 4.7병상의 2.8배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전체 병상 수는 연평균 3.8% 증가했다.
2016년 기준으로 일반병상이 31만3947병상으로 가장 많았다. 요양병상 25만4803병상, 정신병상 7만7384병상, 재활병상 1만198병상 등 순이었다. 이 중 요양병상은 우리나라(인구 1000명당 4.9병상)가 OECD 회원국 평균(인구 1000명당 0.7병상)에 비해 많은 수준이었다.
2016년 우리나라 의료기관이 보유한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는 1923대,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는 1407대,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는 208대에 달했다. 이들 의료장비는 연평균 1.6%, 6.0%, 4.7% 각각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인구 100만 명당 장비 수는 CT 37.2대, MRI 27.2대, PET 4.0대로 OECD 회원국(2015년) 평균(CT 25.6대, MRI 15.5대, PET 2.0대)과 비교할 때 상당히 많은 편이었다.
우리나라 입원환자 수는 2016년 1330만 명이었다. 인구 10만명당으로 환산하면 2만6000명으로, OECD 회원국(2015년) 평균(1만6000명)보다 훨씬 많았다.
2016년 입원환자를 급여유형별로 분류하면 건강보험 1140만 명, 의료급여 100만 명, 자동차보험 72만 명, 보훈 7000명, 산재 7만6000명, 외국인환자 2만6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진료비는 건강보험 204만 원, 의료급여 338만 원, 자동차보험 123만 원, 보훈 327만 원, 산재 655만 원, 외국인환자 1,317만 원이었다.
입원환자가 진료 받은 기관은 상급병원이 19.3%로 가장 많았고, 의원 14%,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13.0%, 100병상 이상 병원 12.8% 순이었다.
2016년에 환자가 거주하는 지역에서 입원진료를 받은 비율(자체충족률)은 부산, 대구가 각각 89.6%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세종은 12.9%로 가장 낮았다.
2016년에 서울 거주 입원환자의 6.7%는 경기도, 0.8%는 인천에서 진료 받았다. 부산거주 입원환자의 5.0%는 경상남도, 2.9%는 서울에서 진료를 선택했다.
2016년 우리나라 전체 외래환자 수는 연인원 7억5000만 명이며, 평균 외래진료비는 2011년 2만5000원에서 2016년 3만1000원으로 증가했다.
2016년 면허등록자수는 의사 11만8000명, 간호사 35만6000명, 약사 6만7000명이며, 연평균 증가율은 작업치료사가 15.3%로 가장 높았고, 약사가 1.2%로 가장 낮았다.
하지만 보건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인력은 의사 9만8000명, 간호사 18만 명, 약사 3만4000명 등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