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플로리다서 볼펜형 전자담배 폭발 사고…국내 궐련형 전자담배는 안전할까?

입력 2018-05-17 10: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AP/뉴시스)
(AP/뉴시스)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한 남성이 볼펜형 전자담배 폭발 사고로 사망했다.

AP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5일 플로리다주 피터스버그에서 톨마지 디엘리아라는 남성이 피우던 전자담배가 폭발하면서 파편들이 머리에 박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파편들이 불을 내면서 시신 대부분이 불 탄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발표된 검시관 부검 보고서에 따르면 이 남성의 사망 원인은 피우던 전자담배로 명시됐다. 검시 결과 디엘리아의 두개골 안에서 전자담배 파편 두 개가 발견됐고, 사인은 "발사체로 인한 머리 부상"으로 기록됐다.

보고서는 당시 이 남성이 불타는 자택 침실에서 소방관들에게 발견됐으며, 신체의 80%에 화상을 입었다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도 이처럼 전자담배로 인한 사고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7월에는 필립모리스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의 정보를 공유하는 카페인 '아이코스 코리아' 자유게시판에 "폭발했습니다"라며 흡연 후 홀더를 본체에 넣고 충전을 하던 도중 아이코스 기계가 폭발한 모습을 공개했다.

피해자에 따르면 당시 사고접수를 받은 한국필립모리스 관계자는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사과를 구하고 직원을 직접 피해자 자택으로 파견해 문제 제품을 수거하고 새 제품으로 교환해줬다.

다만 한국필립모리스 측은 "아이코스는 개발 단계부터 안전기준에 대한 철저한 검사를 거쳤으며 KC(국가통합인증) 및 CE(유럽통합규격) 인증을 받았다"라며 "배터리의 내부 압력이나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배터리의 안전밸브가 열림으로써 폭발 및 화재 등을 방지하는 첨단 안전시스템이 작동하도록 설계돼 있다. 실제로 문제가 된 제품 검사 결과 해당 기기에서 폭발이나 화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터리의 안전시스템이 작동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안정성을 자신했다.

국내에서도 아이코스, 릴, 글로 등 궐련형 전자담배 제품이 모두 리튬 인산철 배터리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어 폭발 위험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회사 측은 이에 대한 제품 내 안전장치가 확보돼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이들 배터리가 기온에 민감하기 때문에 우려를 낳고 있지만, 이들 업체들은 "온도에 대한 클레임이나 오작동 사례는 없었다"라며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09: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09,000
    • -1.92%
    • 이더리움
    • 2,708,000
    • -3.63%
    • 비트코인 캐시
    • 441,800
    • -2.97%
    • 리플
    • 3,057
    • -3.17%
    • 솔라나
    • 177,800
    • -5.48%
    • 에이다
    • 967
    • -3.59%
    • 이오스
    • 1,206
    • +20%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90
    • -2.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00
    • -2.61%
    • 체인링크
    • 19,620
    • -4.9%
    • 샌드박스
    • 390
    • -3.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