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업 10곳 중 8곳이 분야별 연구개발(R&D) 비용 회계처리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8일 판교 사옥에서 R&D비용 회계처리방식과 관련해 업계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협회는 9일부터 약 2주간 바이오 및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R&D비용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설문을 진행했으며 총 26개 기업이 응답했다.
우선 R&D비용의 자산화 비율에 대해선 '0%'가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상당수 기업들이 R&D비용을 자산화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30% 미만이 27.3%, 31~50%가 22.7%, 51~100%가 13.6% 등의 순이었다.
응답 기업의 85%는 명확한 회계처리기준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신약, 바이오시밀러 등 연구개발분야별 회계기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8%가 찬성했고, 90.9%에 이르는 기업이 바이오신약에 대한 회계기준이 필요하다고 했다.
R&D 단계별 비용자산화 적용기준에 대해선 임상1상 개시와 임상3상 개시가 각각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임상 2상 개시 17.4%, 임상 2상 완료 8.7%, 품목허가 완료 후 8.7%, 임상3상 완료 4.3%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17.4%에는 R&D 자산화 기준을 정하지 말고 기업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하자는 의견이 포함됐다.
이번 설문을 통해 개별기업들의 다양한 건의사항도 접수됐다. 한 업체 관계자는 "창업 초기 기업의 경우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완전한 자본잠식 우려와 손익구조 악화로 정부과제 수주 및 투자 유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해 창업생태계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다른 기업 관계자는 "일률적인 회계기준 적용보다는 개별기업의 실적과 역량을 판단해 회계 처리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한 단계만 들어가면 굉장히 다양한 변수와 차별적인 요소들로 이뤄져 있는 바이오산업은 국내에서 이제 막 산업 개화를 시작한 시점"이라며 "산업 안착을 위한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논의는 일률적인 기준보다는 산업적 특수성을 고려해 본격적으로 시작돼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