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무역확장법 공청회 나선 현대차 근로자…“우리는 한국전쟁서 함께 싸웠다”

입력 2018-07-20 10: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상무부에서 열린 무역확장법 232조 공청회에서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근로자 존 홀(John Hall)이 한국전쟁 관련 서적을 내보이고 있다. 그는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무역확장법 확대 적용이 부당하다"고 호소했다.   (AP/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상무부에서 열린 무역확장법 232조 공청회에서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근로자 존 홀(John Hall)이 한국전쟁 관련 서적을 내보이고 있다. 그는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무역확장법 확대 적용이 부당하다"고 호소했다. (AP/연합뉴스)

“한국전쟁에서 우리는 함께 싸웠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상무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무역확장법 232조 공청회에서 사전 발언권을 신청한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근로자 존 홀(John Hall)은 한미 우호관계를 앞세워"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련법 확대 적용은 부당하다"고 호소했다.

이날 ‘한국전쟁’ 관련서적을 들고 공청회에 나선 존 홀은 “현대차가 미국 지역경제에 기여한 것을 직접 경험했으며, 특히 경기침체 시기에도 현대차는 인력조정 없이 미국 근로자와 함께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차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의 절반을 미국에서 생산 중이고, 앨라배마에서 생산한 현대차의 20%는 제3국으로 수출하고 있다”며 “협력사를 포함해 2만5000여 명의 직접고용과 4만7000여 명의 간접고용을 창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엔진과 트랜스미션 등 핵심부품을 미국에서도 생산하면서 미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며 “만일 25% 관세 부과시, 가격 상승과 생산 및 판매 감소로 인해 앨라배마주(州)의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고 호소했다.

미국 상무부가 주최한 이날 공청회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거해 한국과 일본, EU 등 주요 국가의 자동차 관련 협회와 단체, 기업 등 44개 민관 기관이 참석했다. 이들은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대한 각 국과 업계의 입장을 전달했다.

한국에서는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를 비롯해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 현대차 및 LG전자 현지근로자 등 4명이 공청회에 참석해 한국 입장을 입체적으로 전달했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강성천 차관보는 공청회를 통해 “한국은 미국의 핵심 안보동맹국이자 신뢰할 수 있는 교역상대인 만큼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한미 FTA를 통해 양국 자동차(승용차) 관세가 이미 철폐됐고, 개정협상에서 원칙적 합의를 통해 자동차 안전기준 인정범위 확대, 픽업트럭 관세철폐기간 연장 등 미측의 자동차 관련 관심사항이 반영돼 이미 공정하고 상호 호혜적인 교역여건이 조성됐다”고 강조했다.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역시 “한국산 자동차는 미국시장내 점유율이 미미하고 소형차 위주로 미국차와 직접적인 경합관계에 있지 않으며, 무역제한조치가 부과될 경우 상당기간 대체생산이 어려워 미국 시장 위축 및 소비자 부담 증가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89,000
    • +3.04%
    • 이더리움
    • 4,718,000
    • +8.41%
    • 비트코인 캐시
    • 672,000
    • +6.5%
    • 리플
    • 1,681
    • +7%
    • 솔라나
    • 355,000
    • +6.03%
    • 에이다
    • 1,128
    • -1.66%
    • 이오스
    • 927
    • +4.04%
    • 트론
    • 278
    • +0.36%
    • 스텔라루멘
    • 355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800
    • -2.62%
    • 체인링크
    • 20,730
    • +1.47%
    • 샌드박스
    • 482
    • +2.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