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각은 문 정부 1기 내각 중 업무평가를 낮게 받은 부처 위주로 개각이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애초 7월 중순 개각을 단행할 예정이었지만 야당 입각을 포함한 협치 내각을 여당에서 건의해 인사가 미뤄져 왔다. 하지만 야당에서 협치 내각을 사실상 거부해와 애초 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가 협의해온 종전 인사를 단행할 할 것으로 보인다.
협치 내각 무산과 관련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3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지금 상당한 시간이 지났고 지나오는 동안에 각 당에서 보여 온 반응들과 공개되지 않은 내용도 (청와대에) 전달이 됐을 테고, 그런 것을 두루 상황을 판단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대변인은 협치 내각이 사실상 물 건너갔지만 다른 야당에서 좋은 인물이 있으면 데려올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 큰 흐름으로 봐서 지금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기존 2기 내각 구성안으로 선회해 이르면 다음 주중 발표할 것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교체가 거론되는 장관은 김상곤 교육부 장관,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장관의 공통점은 지난 1년간 업무평가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아 이 총리가 교체했으면 좋겠다고 문 대통령에게 건의한 인물들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여성 장관들이어서 이들을 교체할 경우 문 대통령이 그동안 강조해 온 여성 장관 비중 30% 공약이 깨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마땅한 여성 인사 장관을 발탁하기도 힘들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이 고심에 들어갔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번 개각에서 엇박자 목소리를 내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체하라고 야권의 목소리가 크지만, 이들 경제라인은 유임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강조하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기조는 현재도 유효한 데다 자칫 이들 경제라인을 교체할 경우 혼란만 가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상 한 번 맡긴 일에 대해 끝까지 신뢰를 보낸다는 점에서 자진 사퇴를 하지 않는 이상 교체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밖에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교체 명단에 거론되고 있지만 국방 개혁과 사법부 개혁에 앞장서고 있는 시점에서 지금 교체하기는 부담스럽기 때문에 유임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