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1년 만에 순이익 5800억원 줄었다

입력 2019-02-25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감원 "내부유보·수익성 중심 보험영업 체질 개선 필요”

지난해 생명·손해보험사 당기순이익이 2017년보다 5800억 원 줄어들었다. 문제는 보험업 장기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는 점이다. 생명보험사는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으로 저축성보험 확대가 어렵고, 손해보험사는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를 피할 수 없어 하향세를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25일 지난해 보험사 잠정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보험사 전체 당기순이익은 7조27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5800억 원) 감소했다. 생보사 순이익은 4조369억 원으로 2017년보다 3.1%(1219억 원)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처분이익 1조 원이 포함된 수치로, 이를 제외하면 전년보다 순이익이 줄어들었다.

손보사 순이익은 3조237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8%(7019억 원) 줄었다. 금감원은 “투자이익이 5566억 원 증가했지만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에 따른 보험영업 손실 악화(1조3867억 원)로 순이익이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생보사의 수입보험료는 줄었지만 손보사는 소폭 늘었다. 생보사 수입보험료는 110조74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3조2300억 원) 감소했다. 이는 K-ICS 도입에 대비해 생보사가 저축성 보험 판매를 줄인 여파다. 저축성보험 수입보험료는 5조2422억 원 줄었고 보장성보험은 8420억 원 늘었다.

손보사 수입보험료는 91조4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2조7049억 원) 증가했다.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는 1300억 원 이상 줄었지만, 장기보험과 일반보험에서 약 2조 원 이상 만회했다.

보험사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1155조6172억 원으로 2017년보다 45조6000억 원(4.1%) 증가했다. 지급여력(RBC)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자본은 전년 대비 5.6%(5조9776억 원) 증가한 122조6838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본규제 강화로 저축성보험 축소 등 영업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며 “이익 내부유보 확대와 수익성 중심의 보험영업 체질개선 등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046,000
    • -0.15%
    • 이더리움
    • 2,637,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3.96%
    • 리플
    • 3,140
    • -0.29%
    • 솔라나
    • 211,400
    • -0.05%
    • 에이다
    • 1,009
    • +1.92%
    • 이오스
    • 1,047
    • +1.55%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89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00
    • -4.33%
    • 체인링크
    • 20,470
    • -2.15%
    • 샌드박스
    • 406
    • -5.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