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뱅크, 중남미 도전장...5조6000억 규모 투자펀드 설립

입력 2019-03-08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7년, 2018년 중남미 벤처기업 투자 총액에 맞먹는 수준

▲일본 통신기업 소프트뱅크가 50억 달러 규모의 중남미 투자 펀드를 설립한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도쿄/AP뉴시스
▲일본 통신기업 소프트뱅크가 50억 달러 규모의 중남미 투자 펀드를 설립한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도쿄/AP뉴시스

일본 정보통신기업 소프트뱅크그룹이 중남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소프트뱅크가 중남미를 겨냥한 50억 달러(약 5조6000억 원) 규모의 기술 펀드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펀드는 볼리비아 출신 마르셀로 클라우레 소프트뱅크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주도할 예정이다.

클라우레 COO는 이날 중남미 신생기업에 투자할 ‘소프트 이노베이션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20억 달러를 투입하고, 나머지 30억 달러는 추가로 외부에서 조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여가 예상되는 외부 투자자의 명칭은 언급하지 않았다.

소프트뱅크그룹이 발표한 이번 투자 펀드는 전례가 없을 만큼 큰 규모라고 FT는 분석했다. 2017년과 2018년 중남미 벤처기업에 투자된 총액과 맞먹는 수준이다. 중남미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추세로 5년 전에 비해 2배로 확대됐다.

그러나 세계적인 수준에서 보면 아직 ‘미개척’ 시장에 해당한다. 클라우레 COO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잠재성에 비해 중남미 시장에는 경쟁자가 아직 적다”며 “블루오션(경쟁이 없는 미개척 시장)이라고 생각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투자처로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등을 예상하고 있다. 투자 분야로는 인터넷 통판과 물류, 보험 관련 분야의 신생 성장 기업을 목표로 한다. 중남미의 시장 성장 가능성과 인구 규모를 고려해 전자 상거래와 헬스케어, 운수, 보험 분야에 대한 투자에 초점을 두는 전략이라고 외신은 평가했다.

소프트뱅크그룹의 손 마사요시(손정의)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라틴아메리카에서 향후 수십 년 사이 매우 큰 성장이 예상된다”며 “창업가들에게 투자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00% 결정…15년9개월 만에 연속 인하
  • '핵심 두뇌' 美·中으로…한국엔 인재가 없다 [韓 ICT, 진짜 위기다下]
  • '회복 국면' 비트코인, 12월 앞두고 10만 달러 돌파할까 [Bit코인]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송석주의 컷] 순수하고 맑은 멜로드라마 ‘청설’
  • "비트코인 살 걸, 운동할 걸"…올해 가장 많이 한 후회는 [데이터클립]
  • 위기론에 조기쇄신 꺼내든 신동빈…대거 물갈이 예고
  • 신생아 특례대출, ‘연소득 2억’ 맞벌이 부부까지 확대… “결혼 페널티 해소”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13: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054,000
    • +2.68%
    • 이더리움
    • 5,013,000
    • +4.68%
    • 비트코인 캐시
    • 717,500
    • +3.16%
    • 리플
    • 2,046
    • +6.29%
    • 솔라나
    • 334,700
    • +3.27%
    • 에이다
    • 1,412
    • +4.98%
    • 이오스
    • 1,124
    • +1.44%
    • 트론
    • 279
    • +0.72%
    • 스텔라루멘
    • 680
    • +10.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600
    • +6.19%
    • 체인링크
    • 25,340
    • +1.64%
    • 샌드박스
    • 839
    • +0.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