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선택 기준, ‘신입은 '직무내용 'vs 경력은 '고용 안정’

입력 2008-08-05 18: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직장선택기준에 있어 신입 구직자는 직무내용을, 경력 구직자는 고용안정성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7월 30일부터 8월 3일까지 신입 및 경력 구직자 1348명(신입 707명, 경력 6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에 따르면, 직장선택 기준을 묻는 질문에 28.5%가 ‘연봉’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직무내용(17.7%) ▲고용안정성(15.8%) ▲복리후생(11.4%) ▲기업의 발전가능성(10.2%) ▲근무지역(6.8%) ▲업무 강도(3.8%)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신입은 ‘직무내용(20.8%)’과 ‘기업의 발전 가능성(12.7%)’을 중시했고, 경력은 ‘고용안정성(21.1%)’과 ‘복리후생(16.2%)’을 중시했다.

직장선택의 기준에 대한 선택이유로 신입은 ‘한 직장에 오래 일하기 위한 필요조건이기 때문(46.6%)’이라는 응답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첫 직장이 사회생활을 좌우하기 때문에(32.8%) ▲향후 이직할 때 유리하기 때문(9.9%) 순이었다.

경력은 ‘원만한 직장생활을 위해 꼭 필요한 조건 같아서’라는 응답이 43.2%로 가장 많았으며, ‘전 직장에서 본 불이익을 만회하기 위해’라는 응답도 24.6%를 차지했다.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의 형태를 묻는 질문에는 신입의 경우 30.9%가 ‘대기업’이라고 응답했고, 이어 ▲중견기업(21.5%) ▲중소/벤처기업(17.2%) ▲공기업(14.3%) 순이었다. 반면 경력은 ▲중견기업(29.8%) ▲중소/벤처기업(22.8%) ▲대기업(16.5%) 순이었다.

신입 구직자들이 취업을 위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복수응답)은 ▲자격증 취득(54.6%) ▲아르바이트/인턴십 경험(40.2%) ▲어학점수(31.1%) 순인 반면, 경력 구직자들은 ▲경력관리(49.1%) ▲인맥관리(40.1%) ▲직무분야 자격증 취득(38.4%) 순이었다.

커리어 김기태 대표는 “직장선택 기준에 있어 아직까지 연봉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는 있지만 신입은 향후 커리어 관리를 위해 직무내용에 신경을 쓰고 있는 반면, 경력은 경기불황 속에서 고용안정성을 중시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에 뉴욕증시ㆍ국제유가 요동…나스닥 1.53%↓
  • 단독 예산 수십억 들였는데 참여 기업은 3곳뿐…'AI 신뢰 인증제'
  • [날씨] 전국 기온 '뚝↓', 낮 기온 20도 내외…쌀쌀한 가을날씨
  • '흑백요리사' 최현석, 비장의 무기 꺼냈다…시청자들 뒤집힌 이유는?
  • “나야, 모기” 짧은 가을 점령…곧바로 극한 한파 온다 [해시태그]
  • 단독 교육부, 전국 의대에 "동맹휴학 안 된다" 공문…서울대 의대 휴학 승인 ‘논란’
  • 北, 열흘 만에 쓰레기 풍선 살포 재개…올해 들어 23번째
  • 오늘의 상승종목

  • 10.02 10: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380,000
    • -1.82%
    • 이더리움
    • 3,321,000
    • -4.16%
    • 비트코인 캐시
    • 431,100
    • -4.33%
    • 리플
    • 811
    • -1.46%
    • 솔라나
    • 195,900
    • -3.97%
    • 에이다
    • 480
    • -3.81%
    • 이오스
    • 645
    • -6.11%
    • 트론
    • 206
    • +0%
    • 스텔라루멘
    • 127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650
    • -6.26%
    • 체인링크
    • 14,980
    • -5.49%
    • 샌드박스
    • 337
    • -6.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