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원<사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13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점에서 가진 금통위원 오찬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신흥국과 주요 선진국 간 어느 정도의 금리 격차를 유지하도록 요구되는 것은 당장의 자본유출을 우려해서라기보다는 미래 어느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안정 리스크에 대한 일종의 헤지 또는 사전적 건전성 확보 조치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준금리를 어디까지 내릴수 있느냐는 소위 실효하한과 관련한 질문에도 그는 “실효하한이 낮아질 가능성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기준금리가 (역사적 저점수준으로) 내려와 있는 것”이라면서도 “어느정도 안전장치는 필요한게 아닌가 싶다. 대외건전성을 보완적으로 받쳐줘야할 것이다. 안가본 길을 가고 있다.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가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사실상 한미 기준금리차가 50bp(1bp=0.01%포인트)나 역전돼 있는 상황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일축한 것이다. 그는 실제 지난달 금통위에서 이일형 위원과 함께 금리인하에 반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작년 5월 취임일성으로 “원앙새”라고 자기 스탠스를 밝혔던 그가 처음으로 매(통화긴축파)의 발톱을 드러냈었다.
임 위원은 또 그간의 통화정책에 환율을 고려해보면 그 기조는 느리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캐나다 중앙은행이 개발한 통화상황지수(MCI)로 보면 경기 전환점에서의 MCI 기조변화는 그 속도나 폭에 있어 정책금리 기조 변화보다 더 선제적이고 적극적이었다”면서도 “이는 정책금리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우리나라 통화정책 기조변화가 미국 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느린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환율 움직임을 함께 고려할 경우 반드시 그렇게만 평가할 수 없다는 여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통상 한미 금리차가 커지면 통화가치가 상승(원·달러 환율 하락)하고, 좁혀지거나 마이너스로 가면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하는게 보통이었다. 실제, 2000년 1분기부터 2017년 4분기까지 원·달러환율과 한미 정책금리차간 상관계수는 마이너스(-)0.41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임 위원은 “환율이 금리차를 따라 움직이려면 금리차를 보고 거래하는 자본거래가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그게 작다. 외국인 채권 포지션도 10% 미만이다. 원화채와 미국채가 동일채권이 아니다라는 인식에 대체재로서의 역할도 못하는 것”이라며 “또 국내기관이 해외투자에 나설 때 대부분 헤지를 하는 것도 실제 상관계수가 이론과 같이 않게 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같은기간 원화 명목실효환율과 글로벌 성장률간 상관계수는 0.5로 주요국 대비 가장 높다. 이는 글로벌 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원화가치가 절상(원·달러 환율 하락)된다는 의미다.
임 위원은 “동일한 충격에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환율 변동은 경기흐름이 동조화하는 상황에서도 각국의 통화정책 결정을 차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사실상 통화정책도 우리만의 길을 가야한다고 밝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