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내달 한일 정상회담 열리도록 조율하기로 했다“

입력 2019-11-23 17: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3일 일본 나고야관광호텔에서 열린 한일외교장관 회담에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과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3일 일본 나고야관광호텔에서 열린 한일외교장관 회담에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과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내달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한일 정상이 만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내달 말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있도록 일본 측과 조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 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과의 이날 회담은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가 열린 나고야관광호텔에서 개최됐다. 오후 3시40분에 시작된 회담은 4시15분에 끝나 예정 시간을 15분을 크게 넘겨서 마무리됐다.

이날 회담 직후 강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 개최가 논의됐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 사안도 회담에 나와서 서로 (정상) 회담이 가능할 수 있도록 조율하기로 했다"고 답했다.

앞서 일본 언론들은 한국과 일본이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다음 달 말 중국에서 개최하는 쪽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회담에서는 △한일 정상회담 개최 △수출규제 철회를 위한 협의 △강제징용 문제 △한반도 정세 등 한일 현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어제 양측이 어렵게 합의를 통해 만들어놓은 양해 사항에 대해서 양국 수출 당국 간 대화가 개시되는 게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서로 있었다"며 "우리는 협의를 통해 일의 수출규제 조치가 철회돼야 한다고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강제징용 판결 관련해서 서로 간에 이견은 있지만 외교 당국 간 집중 논의를 해온 것을 짚어보고 앞으로 그러한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좀 더 집중 논의를 하기 위한 시간을 일단 번 것"이라며 "그렇지만 시간이 많은 것은 아니다. 서로 그야말로 선의의 협의를, 수출 당국은 수출 당국대로 외교 당국은 외교 당국대로 (대화를)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0: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098,000
    • -1.51%
    • 이더리움
    • 2,716,000
    • -2.97%
    • 비트코인 캐시
    • 445,100
    • -1.79%
    • 리플
    • 3,076
    • -1.94%
    • 솔라나
    • 178,600
    • -4.24%
    • 에이다
    • 974
    • -2.5%
    • 이오스
    • 1,225
    • +21.41%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390
    • -2.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50
    • -2.3%
    • 체인링크
    • 19,630
    • -4.34%
    • 샌드박스
    • 392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