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기업들이 내년 경영계획 기조로 ‘긴축경영’을 꼽았다. 현재의 경기 상황 역시 ‘장기형 불황’으로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하방 리스크가 줄지 않으면 ‘더블딥(재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06개사를 대상으로 ‘2020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7.4%가 2020년 주된 경영계획 기조로 ‘긴축경영’을 꼽았다고 8일 밝혔다.
2020년 주된 경영계획 기조를 묻는 설문에 ‘긴축경영’이라는 응답이 4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현상유지’는 34.1%, ‘확대경영’은 18.5%에 그쳤다.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생산규모 축소’, ‘자산매각’ 등 기업활동 자체를 줄여나가는 방식보다는 ‘원가절감’, ‘인력부문 경영합리화’ 등 내실을 다져 버텨보자는 방식을 우선으로 고려 중이다.
경총은 “2020년 주된 경영계획 기조가 ’긴축경영’으로 나타난 것은 응답자의 약 65%가 최근 경기 상황을 ’장기형 불황’으로 평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64.6%가 현재 경기 상황을 ’장기형 불황‘이라고 평가했으며, 응답자의 43.9%는 2020년 경제성장률을 ‘1.5% 초과~2.0% 이하’로 전망했다.
내년 투자계획에 대해서는 ‘축소’ 혹은 ‘올해(2019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경총은 “응답 기업들은 내년 투자에 대해 소극적이고 보수적인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2020년 경영환경의 주된 애로 요인으로 ‘노동정책 부담’(33.4%), ‘내수부진’(29.1%), ‘대외여건 불확실성’ (16.8%) 등을 지적하였으며, 응답자의 48.5%는 2020년 영업이익이 ‘2019년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에서 ‘노동정책 부담(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응답(36.6%)이 가장 높았던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은 ‘내수부진’이라는 응답(31.0%)이 가장 높게 나타나 기업 규모별로 차이를 보였다.
회사의 현 주력사업이 향후 주요 수익원으로 얼마나 가능한지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58.0%는 ‘5년 미만’, 응답자의 21.0%는 ‘10년 이상’이라고 답했다.
향후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하방 리스크가 줄지 않으면 ‘더블딥(재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 바닥론 속 더블딥 가능성 상존’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경제가 다시 회복세를 탈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ㆍ인도 성장세 둔화에 수출이 다시 부진해지거나 기업 투자가 늘지 못하면 더블딥에 빠질 수도 있다고 봤다.
주 실장은 우선 현재 경기 반등 조짐이 미약하다고 평가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7월 99.3에서 9월 99.5로 소폭 올랐으나 10월 들어 99.4로 다시 하락한 상태다. 3분기 성장률도 0.4%에 그쳐 올해 연 2.0% 성장률 달성도 어려워졌다고 봤다.
한국 경제는 2013년에서 2015년 상반기 사이 경기가 잠시 회복 흐름을 보이다 다시 가라앉는 더블딥을 경험했다고 주 실장은 설명했다.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3년 3월(99.7)에 저점을 찍고 2014년 3월(100.6)까지 치솟은 다음, 더 오르지 못하고 2015년 6월(99.6)까지 하락했다. 중국 성장률이 급락하며 투자와 수출이 침체했고, 소비심리도 나빠진 결과다.
주 실장은 중국과 인도의 성장률이 빠르게 악화하며 신흥국 성장세도 미약해지면 한국 수출 경기 회복을 자신하기 어렵다고 봤다.
향후 더블딥 가능성을 줄이고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확장적인 재정정책, 신남방 정책 가속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 실장은 “중앙정부와 지자체 모두 올해 남은 기간 예산 불용액을 최소화하고 내년 상반기 재정 집행률을 높여야 한다”며 “중국ㆍ인도 성장세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아세안 중심의 신남방정책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