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올 상반기 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강북권에서도 수요가 급감하면서 2주연속 약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지난주 대비 -0.16%의 변동률을 기록하면서 가격 하락폭 확대와 더불어 하락지역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일반 아파트가 -0.99%, 재건축 -0.64%를 나타냈고, 규모별로는 소형(전용 60㎡ 이하) -0.28%, 중소형(전용 60~85㎡ 이하) -0.09%, 중형(전용 85~102㎡ 이하) -0.26%, 중대형(전용 102~135㎡ 이하) -0.15%, 대형(전용 135㎡ 초과) -0.08%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또한 지역별로 살펴보면, 성북구(0.08%), 영등포구(0.05%), 서대문구(0.05%), 강북구(0.04%), 동작구(0.02%), 종로구(0.08%)에서 소폭의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강남구(-0.48%), 강동구(-0.43%), 마포구(-0.38%), 송파구(-0.30%), 양천구(-0.16%), 서초구(-0.12%)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와함께, 서울시 뉴타운 사업지구 중 규모가 가장 큰 장위뉴타운 여파로 이주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인근지역 성북구 석관동 지역의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현재 석관동 두산 72㎡(전용 54㎡)의 경우 1000만~1500만원 가량 상승해 2억3000만~2억5750만원 선이며, 109㎡(전용 84㎡) 1000만원 상승한 3억9750만~4억4500만원이다.
강남구는 최근 정부의 부동산대책이 네차례나 발표됐지만 매수자들의 차가운 관망세가 좀체 풀리지 않는 분위기를 이어가면서 지난 5월부터 시작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급매물 조차 적체현상을 보이면서 개포동 주공7단지 112㎡(전용 86㎡) 형이 3500만~5000만원 하락한 9억5500만~10억3500만원 선이며, 주공4단지 36㎡(전용 35㎡)는 2000만~2250만원 하락한 5억2500만~5억4500만원선에 시세가 형성됐다.
경기도는 지난 주 대비 -0.11%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아파트 유형별로는 일반 아파트가 -0.10%, 재건축은 -0.15%를 기록했고, 규모 별로는 소형(전용 60㎡ 이하) -0.02%, 중소형(전용 60~85㎡ 이하) -0.11%, 중형(전용 85~102㎡ 이하) -0.34%, 중대형(전용 102~135㎡ 이하) -0.23%, 대형(전용 135㎡ 초과) -0.15%의 변동률을 보였다.
지역 별로는 동두천시(0.15%), 오산시(0.11%), 고양시(0.05%), 구리시(0.02%)가 오름세를, 용인시(-0.46%), 하남시(-0.33%), 안양시(-0.25%), 광명시(-0.13%), 광주시(-0.12%) 가 하락세를 보였으며 기타 지역도 대체로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매수세 부족으로 급매물마져 적체되며 가격 하락세를 나타내는 지역도 속출하고 있다. 용인에서는 소~중소형이 -0.32%, 중형 이상에서는 -0.68%의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연초 대비 -4.75% 하락세로, 특히 신봉동, 상현동, 동천동, 죽전동 등 평단가 상위지역은 -7% 안팎을 기록했다.
신도시는 -0.18%의 변동률을 보였다. 지난 주 하락세로 전환됐던 소형이 이번 주 -0.05%를 기록, 하락세를 지속했고 중소형 이상에서도 -0.23~-0.30%으로 지난 주와 엇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지역 별로는 분당이 -0.35%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고, 그 외 지역도 -0.06~-0.07%을 기록, 전 지역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인천은 0.09%의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남구(0.19%), 남동구(0.16%), 서구(0.10%)가 오름세를 보였고, 그 외 지역도 대부분 소폭 오름세를 나타냈다. 규모 별로는 소형(전용 60㎡ 이하) 0.15%, 중소형(전용 60㎡~85㎡ 이하) 0.06%, 중형 이상(전용 85㎡ 초과)에서는 0.01%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