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한파가 이어질 전망이다. 수요와 공급의 복합 위기가 닥쳐오면서 과거 외환ㆍ금융위기 당시보다 회복 속도까지 더딘 상황이다.
이에 더해 제조업의 자금 사정 전망도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유동성 위기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6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6월 전망치는 68.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61.8) 대비 7.1포인트(P) 상승한 수치이나 여전히 70선을 넘지 못하며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5월 실적치는 70.6으로 61개월 연속 부진을 이어갔다.
6월 전망치 부문별로는 내수(71.4), 수출(71.1), 투자(77.0), 자금(78.2), 재고(104.8), 고용(85.2), 채산성(76.2) 등 전 부문에서 기준선 미만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42.1), 의류·신발(50.0), 의료·정밀기계(50.0), 비금속 광물(55.0), 금속 및 금속가공(55.2) 순으로 낮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기업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수요 회복이 더디고 주요국 해외공장의 셧다운 지속으로 내수와 수출이 여전히 부진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제조업의 자금사정 전망(73.9)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월(66.4) 이후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업활동 부진으로 현금흐름이 위축되고, 금융기관 대출여건도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 기업들은 신용등급 하락으로 대출연장에 실패하고 해외 매출채권 회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경기전망이 전달 대비 다소 상승했음에도 여전히 70선을 밑돌 정도로 낮고 과거 위기에 비해서 회복 속도가 더디다는 점이 문제라고 진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2009년 1월 최저치(52.0) 기록 후 두 달 만에 24.1P가 상승한 반면, 코로나19에 따른 위기는 지난 4월 최저치를(59.3) 기록 후 같은 기간 9.6P 상승하는데 그쳤기 때문이다.
한경연은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공급의 복합적 충격이 겹쳐 경기 전망이 여전히 어두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5월 실적치는 70.6을 기록하며 61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전망치(61.8)보다는 경기 상황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내수(74.2), 수출(72.0), 투자(76.8), 자금(82.6), 재고(107.3), 고용(84.9), 채산성(78.4) 등 전 부문에서 기준선 미만을 기록하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있어 회복세 지속에 대해 예상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기업들이 경제 충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금지원 절차 간소화 등 적극적인 유동성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