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춘제 때 아무데도 가지 마라” 방역 수위 강화

입력 2021-01-08 14: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휴 기간 예상 열차 이용자만 4억7000만 명 예약 기차표 환급하는 등 대안 마련

▲중국 베이지엣서 기차 승무원이 6일 출발에 앞서 승객들의 탑승을 요청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중국 베이지엣서 기차 승무원이 6일 출발에 앞서 승객들의 탑승을 요청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중국 정부가 최대 명절인 춘제를 앞두고 자국민에게 불필요한 여행을 삼갈 것을 촉구했다.

8일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명절 특별 수송 기간인 춘원(1월 28일~3월 8일) 때 가급적 집에 머물라는 지침을 주민들에게 하달했다.

당초 중국 철도 당국은 이 기간 약 4억7000만 명의 기차 여행이 있을 것으로 추산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심해지자 전날까지 예약된 기차표 전부를 환급해주는 등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전염병 통제를 위해 각 기업은 휴가를 통해 근무 유연성을 늘리고, 직원들 역시 근무 지역에서 휴가를 즐기라”는 안내 공고를 올리기도 했다.

이미 베이징과 상하이는 춘제 기간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거주지역 밖으로 나가지 말 것을 권고했고, 산둥성 칭다오와 허난성 일부 도시들도 이 같은 사안을 전하는 등 지자체별로도 지역민들의 방역 강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 질병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현지에서 104건의 지역 감염이 발생했는데, 이는 전월 대비 76% 증가한 수치다. 특히 허베이성을 중심으로 대유행 조짐이 일고 있어 해당 지역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 상태다.

SCMP는 “겨울철 전염병 확산에 대비해 베이징과 상하이 등 10개 이상의 지방 정부가 집에 머물 것을 요청하고 있다”며 “현재 당국은 허베이의 한 지역을 고위험 지역으로 지정했고, 선양 17개 지역을 포함해 총 49곳을 중간 위험지역으로 지정했다”고 전했다.

다만 모든 지역 주민들에게 이동 제한을 명하는 것은 합리적인 정책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최고 전염병학자 중 하나인 중난산 교수는 지난주 중국 국영 CCTV에 출연해 “해외여행이나 고위험 지역은 여행을 삼가야 하지만 중국 내 여행을 다 제한할 필요는 없다”며 “대신 마스크를 잘 착용하고 각별히 주의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광 역학 박사 역시 “최근 몇 달간 다른 중국 내 축제 기간에도 바이러스는 잘 통제됐다”며 “국내 여행을 중단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650,000
    • -1.29%
    • 이더리움
    • 4,574,000
    • -4.05%
    • 비트코인 캐시
    • 682,000
    • -6.58%
    • 리플
    • 1,838
    • -14.63%
    • 솔라나
    • 339,800
    • -5.66%
    • 에이다
    • 1,332
    • -13.56%
    • 이오스
    • 1,106
    • +1.65%
    • 트론
    • 281
    • -6.95%
    • 스텔라루멘
    • 623
    • -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000
    • -7.02%
    • 체인링크
    • 22,940
    • -5.71%
    • 샌드박스
    • 739
    • +26.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