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로 본 2021] 구현모 KT 대표 “향후 10년 결정할 디지털 전환 원년으로”

입력 2021-01-24 1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구현모 KT 대표가 이달 4일 랜선 신년회에서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T)
▲구현모 KT 대표가 이달 4일 랜선 신년회에서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T)

구현모<사진> KT 대표가 올해를 성장 원년으로 삼고, 디지털 플랫폼 기업(디지코, Digico)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올해 신년사에서 구 대표는 지난해 코로나19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어 “40년 가까이 이어진 11개 본부체계를 6개 광역본부 체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것이 큰 성과이며, 현장 중심 소통과 협업이 이뤄지면서 KT의 핵심조직으로 변모했다”고 평가했다.

구 대표는 올해 코로나 상황과 소비위축, 비대면 전환 등 불확실성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며, 올 한해를 어떻게 보내느냐가 향후 10년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임직원을 향해 세 가지를 당부했다. 첫 번째는 KT의 책임과 사명이다. 통신망의 안정적 운영, 현장 안전, 인터넷데이터센터(IDC)ㆍ클라우드 및 미디어운용센터의 안정적 운영이 기본이자 책임이므로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KT는 보통의 대기업과 달리 국가와 사회가 어려움을 극복해야 할 때 앞장서야 하는 기업”이라며 “도움이 필요한 개인, 소상공인, 기업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 고민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구 대표는 두 번째로 성장을 강조했다. 지난해 텔코(Telco)에서 통신기반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 디지코(Digico)로 전환을 선언한 만큼 새로운 성장을 모색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주력산업의 성장도 중요하며, 미디어ㆍ콘텐츠, 로봇, 바이오헬스케어 등 시장규모와 성장성 큰 신사업에도 도전할 준비를 마쳤다”고 했다.

세 번째는 일하는 방식이다. KT의 조직구조는 광역본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 연장선에서 구 대표는 “현장 직원들이 성장하는 환경을 만들고 현장경험 갖춘 임직원을 핵심 리더로 키워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끝으로 구 대표는 이 모든 변화의 중심에 ‘주인 정신’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나는 왜 이 일을 하며 우리 KT는 무엇을 하려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며 “우리 모두 힘을 합쳐 당당하고 단단한 KT 그룹을 만들어 나갈 것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1: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378,000
    • -1.03%
    • 이더리움
    • 2,720,000
    • -2.44%
    • 비트코인 캐시
    • 450,400
    • -0.49%
    • 리플
    • 3,063
    • -1.48%
    • 솔라나
    • 179,300
    • -3.13%
    • 에이다
    • 974
    • -1.91%
    • 이오스
    • 1,245
    • +20.99%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95
    • -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510
    • -1.13%
    • 체인링크
    • 19,720
    • -3.24%
    • 샌드박스
    • 395
    • -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