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기계, 2만7300㎡ 규모 ‘글로벌교육센터’ 새 단장

입력 2021-06-29 15: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술혁신센터, 품질확보센터, 글로벌교육센터 모두 구축 완료

▲29일 열린 글로벌 교육센터 준공식에서 현대건설기계 공기영 대표(왼쪽에서 네 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건설기계)
▲29일 열린 글로벌 교육센터 준공식에서 현대건설기계 공기영 대표(왼쪽에서 네 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건설기계)

현대건설기계는 충북 음성에 있는 글로벌교육센터의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열린 준공식에는 현대건설기계 공기영 대표를 비롯한 임직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리모델링으로 현대건설기계는 △완성품 품질 확보를 위한 기술혁신센터 △부품 신뢰성 검증을 위한 품질확보센터 △인재육성을 위한 글로벌교육센터 등 3대 핵심기반 시설을 갖췄다.

특히 이번 공사는 내외부 시설 개선 및 공간 재배치, 실습 장비 교체 등 쾌적한 교육환경을 조성해 교육생들의 몰입도와 교육 효과를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현대건설기계 글로벌교육센터는 사무실, 강의동, 실습동, 성능 시험장, 운전 연습장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재 △건설기계 정비 분야 5개 △산업 차량 정비 분야 6개 △운전 분야 2개 △신기술 분야 1개 등 총 14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각 과정은 초급, 중급, 고급 과정으로 나뉘어 맞춤형 교육훈련이 가능하다.

현대건설기계 글로벌교육센터는 2006년 개소한 이래 굴착기, 휠로더, 지게차 정비, 운전 기술 분야의 핵심인력 양성에 힘써 왔다.

지금까지 교육을 통해 배출한 인력만 약 1만3000여 명에 이를 정도로 건설기계 장비 관련 인력양성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작년 6월에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의 공동훈련센터로 선정되면서, 약 2만7300㎡(8300평) 규모의 기존 교육장에 대한 리모델링 공사에 돌입했다.

이후 올해 실습동을 끝으로 모든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했다.

현대건설기계 공기영 대표는 축사를 통해 “글로벌교육센터는 국내외 건설기계 산업 인력 양성의 메카로 오랜 시간 그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고 자부한다”라며 “업그레이드된 교육환경 속에서 더욱 양질의 교육을 제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동반성장의 기반을 구축해나가자”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건설기계는 건설기계장비업계에서 유일하게 중소기업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실무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180곳의 중소기업과 협약을 맺고 있다. 올해는 교육 인원을 대폭 확대해 총 504명의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1: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45,000
    • -1.36%
    • 이더리움
    • 2,724,000
    • -2.96%
    • 비트코인 캐시
    • 448,900
    • -1.23%
    • 리플
    • 3,062
    • -2.27%
    • 솔라나
    • 178,200
    • -4.5%
    • 에이다
    • 974
    • -2.21%
    • 이오스
    • 1,268
    • +25.3%
    • 트론
    • 351
    • -1.4%
    • 스텔라루멘
    • 391
    • -1.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310
    • -1.57%
    • 체인링크
    • 19,690
    • -4.23%
    • 샌드박스
    • 391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