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쟁점이 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9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생산성본부(KPC)와 공동으로 ‘제6차 대한상의 ESG 경영 포럼’을 개최하고 공급망 ESG 관리 등 최신 이슈와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공동 주최 측에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안완기 KPC 회장 등이 참석했다.
기업 관계자로는 이형희 SK SV위원회 위원장, 강재철 LG화학 지속 가능 경영 담당, 오정화 아모레퍼시픽 상무, 윤영창 PWC 컨설팅 파트너 등이 참석했다.
오범택 KPC 센터장이 ‘대·중소기업 공급망 ESG 관리 협력방안’을 주제로 한 첫 번째 발표를 진행했다.
오 센터장은 “최근 기업들의 가치 사슬(Value Chain)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콩고 코발트 광산 ‘아동 착취’ 등 다수의 ESG 리스크가 공급망에서 발생하고 있고, EU를 비롯한 선진국의 규제 및 투자자 동향 또한 기업의 공급망 ESG 관리능력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라며 “이에 따른 법률 리스크는 기존 방식과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다수 세계적 기업이 이미 공급망에서의 ESG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기업은 아직 관심 차원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라며 “공급망 ESG 관리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기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필수요건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공급망 ESG 관리 차원에서 협력사의 상황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법적 보호가 느슨한 야근수당 미지급 문제 등 인권 부분을 신경 써서 살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제언했다.
두 번째 주제 발표자로 나선 윤덕찬 지속가능 발전소 대표는 'ESG 금융'이 기존 금융을 변화시키는 방법에 관해 설명했다. ESG 목표 달성에 따라 금리가 변동되는 지속 가능 연계 대출(SLL)과 지속가능 연계채권(SLB)의 등장이 대표적이다. 윤 대표에 따르면, SLL 1분기 대출 발행액은 97조 원으로 전년 대비 3배 성장했다.
다만 윤 대표는 “국내에선 아직 SLL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지 않았고, SLB 발행 사례도 없다"라며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ESG 법제도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마지막 발제에 나선 김재구 명지대 교수는 “ESG 관련 법적 규제가 심화하고 있어 기업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일례로 EU는 올해 ESG 공시 의무대상을 연기금에서 은행, 보험, 자산운용사 등으로 확대하는 ‘지속가능 금융 공시규제’(SFDR)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EU는 기업의 공급망 내에서 환경문제, 인권침해 여부를 확인·개선하도록 하는 ‘공급망 실사법’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책임 있는 기업 행위를 강제화하는 방향으로 국제규범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친환경을 고려한 제품 개발과 생산이 필요하고, 협력사와의 가치생태계를 구축해 상생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선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ESG 관리가 기업 경영의 중요 요소로 자리 잡았고, 우리 기업도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해 대·중소기업이 서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이어졌다.
회의를 주재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많은 국내 기업들이 공급망 ESG 관리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는 경우는 많지 않다”라면서 “대·중소기업이 협력하여 전체 공급망 내 ESG 경영 수준을 끌어올리고 이를 거래처 및 매출액을 확대하는 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국내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중소기업이 서로 협력하여 산업 전반의 ESG 경영 수준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라며 “정부도 대·중소기업 전체의 ESG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ESG 인프라 확충 등 여러 노력을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