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중국 부동산 시장의 딜레마

입력 2021-11-1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서영 국제경제부 기자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가 아슬아슬하게 디폴트(채무불이행)를 피하고 있다. 지난달 11일 갚지 못한 달러채 이자 1억4800만 달러(약 1753억 원)를 유예기간 30일이 종료되는 이달 10일 가까스로 상환, 공식 디폴트를 모면했다. 앞서 지난달 23일과 29일에도 유예기간 만료일 직전 이자를 갚으면서 디폴트 고비를 넘겼다. 헝텅인터넷, 헝다자동차 등 자회사 지분을 매각해 ‘급전’을 마련, 급한 불을 끄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 최대 부동산 업체의 자금 경색은 정부의 엄포에서 시작됐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주택은 사는 곳이지 투기 대상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한 작년 2월 이후 부동산 가격이 10% 이상 급등하자 부동산 투기 잡기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중국 부동산 시장 과열의 주범은 투기 세력이 아니다. 부동산은 중국이 개혁개방을 선언한 1978년 이후 무려 31년간 연평균 성장률 9.9%라는 기적을 일군 토대였다. 기술도, 국민소득도 형편없던 중국은 금융정책과 외환정책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고정자산 투자를 일으켜 경제성장을 견인했다. 이자율을 대폭 인하해 국영은행 예금을 헐값에 이용했다. 위안화 평가절하로 수출경쟁력을 확보, 급증한 외환이 국내 통화팽창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시중은행에 채권을 강매했다. 국민 돈을 싼값에 쌈짓돈처럼 사용한 것이다.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는 동안 정작 국민소득은 제자리걸음을 한 이유다.

폐쇄적 자본정책으로 해외투자도 막혔던 중국인들에게 부동산은 마지막 출구였다. 사회안전망조차 약한 사회에서 불안한 삶을 지탱할 ‘버팀목’을 찾은 것이다. 정부가 때려잡겠다고 벼르는 부동산 투기를 부추긴 주범이 바로 정부였던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이를 해결해야 할 ‘정치’의 부재다. 중국 부동산 시장 개선은 왜곡된 금융·외환·산업 정책을 손보는 구조개혁이 수반돼야 한다. 그러나 지도자들은 사태를 봉합하는 데 급급했다. 후진타오 전 주석은 시스템 개혁 대신 ‘조화로운 사회’를 기치로 사회동요를 잠재우는 길을 택했다. 자신을 마오쩌둥·덩샤오핑 반열에 올려 장기집권의 길을 닦고 있는 시 주석이 ‘공동부유’를 앞세워 민심을 달래는 모습도 전임자인 후 전 주석과 묘하게 닮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51,000
    • +3.2%
    • 이더리움
    • 4,662,000
    • +7.27%
    • 비트코인 캐시
    • 674,500
    • +8.79%
    • 리플
    • 1,558
    • +1.17%
    • 솔라나
    • 352,700
    • +7.33%
    • 에이다
    • 1,102
    • -4.59%
    • 이오스
    • 908
    • +3.18%
    • 트론
    • 279
    • +1.09%
    • 스텔라루멘
    • 338
    • -5.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750
    • -3.28%
    • 체인링크
    • 20,900
    • +1.46%
    • 샌드박스
    • 481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