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주간 시황] 불붙은 남양주 아파트값…전용 84㎡도 10억 ‘훌쩍’

입력 2021-12-04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24.8% 급등…교통 호재에 매수세 ‘활발’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제공=남양주시)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제공=남양주시)
경기 남양주시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다. 서울 집값이 치솟자 수도권 외곽으로 눈을 돌린 수요가 많아진 데다 교통 호재가 속속 추진되며 일대 집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남양주시 아파트값은 이번 주(11월 29일 기준) 0.2% 올라 오름세를 이어갔다. 올해 누적 상승률은 24.81%로 작년 동기(10.9%)에 비해 크게 올랐다.

남양주시 불장(불같이 뜨거운 상승장)에는 교통 호재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은 인천 송도~경기 마석 80.1㎞ 구간을 잇는 노선으로 2028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이 노선이 뚫리면 다산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 20분 내로 도달할 수 있다. 이 밖에 지하철 9호선 남양주 연장, 4호선(진접선)과 8호선(별내선) 단절구간 연결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됐다.

남양주시에서는 올해 들어 국민 평형인 전용면적 84㎡형 호가가 10억 원을 훌쩍 뛰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다산동 ‘다산한양수자인 리버팰리스’ 아파트 전용면적 84㎡형은 7월 11억5000만 원에 매매가 이뤄져 신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 8억6000만 원에 거래된 이후 신고가로 나온 매물이 잇따라 팔려나가고 있다. 현재 이 아파트 호가는 11억~12억 원에 형성돼 있다.

별내동 ‘별내 아이파크2차’ 전용 84㎡형은 9월 9억9000만 원에 팔렸다. 이는 8월 9억500만 원에 거래됐던 종전 최고가보다 8500만 원 오른 금액이다. 현재 호가는 12억 원에 달한다.

다산동 A공인 관계자는 “남양주 왕숙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프라 확충 등 추가 개발 호재도 많아 시세 10억 원대 아파트는 더 늘어날 것 같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14: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520,000
    • +5.52%
    • 이더리움
    • 2,393,000
    • +9.17%
    • 비트코인 캐시
    • 443,800
    • +7.95%
    • 리플
    • 2,965
    • +9.29%
    • 솔라나
    • 172,100
    • +8.51%
    • 에이다
    • 921
    • +8.1%
    • 이오스
    • 1,010
    • +1.71%
    • 트론
    • 358
    • +4.37%
    • 스텔라루멘
    • 349
    • +5.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30
    • +8.26%
    • 체인링크
    • 18,400
    • +10.91%
    • 샌드박스
    • 377
    • +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