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이 3명이나 돼 참 다행인걸요.”(중동초등학교 이호재 교무부장)
전남 구례에 있는 중동초등학교는 1936년 중동간이학교로 개교한 이래 올해 처음 신입생 '0'명을 기록할 뻔했다.
이 학교는 1972년에 전교생이 789명(13학급)이었다. 그러나 주민들이 도시로 점점 빠져나가면서 올해 3월에는 전교생이 20명으로 줄었다.
그러나 서울시교육청과 맺은 농산어촌유학 프로그램 덕분에 올해 14명의 전학생을 받았다. 전남농산어촌 유학은 초등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학기 단위로 전남과 서울 지역 전학생을 받아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울교육청과 협약을 맺어 한 학기나 두 학기까지 다니다 원래 학교로 돌아갈 수 있다.
범미경 전남교육청 혁신교육과장은 “수도권 학교는 2학기 전면등교가 어려웠지만 중동초는 한 학년 학생 수가 3~7명에 불과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할 때에도 대면수업을 진행했다”며 “수업을 듣는 학생이 적어 1대 1 지도도 가능하고 전교생이 승마 수업과 오케스트라 활동도 함께 한다”고 설명했다.
학년별로 1·2학년은 지리산 둘레길 탐방, 3·4학년은 섬진강 길 따라 자전거 타기, 5·6학년은 마을 역사를 주제로 프로젝트 수업을 을 진행을 진행한다.
서울에서 두 아이를 데리고 유학온 학부모 이지은 씨는 “프로그램이 마냥 좋다고 해서 아빠 없이 아이들만 데리고 오는 일이 쉽지 않았다"면서도 "구례에 예술인마을이 형성돼 있다는 것이 주거에 안정적이고 좋았던 부분이었다"고 설명했다.
자연히 가족관계도 좋아졌다. 이 씨의 자녀 김온유 양은 “서울에서는 엄마가 직장을 다녀서 집에서도 이야기할 시간이 부족했고 코로나19 때문에 산책하러 다니기도 어려웠다”면서 “여기에서는 신선한 공기를 마시면서 산책하는 시간이 더 많아졌고 엄마가 회사를 다니지 않고 함께 있으면서 같이 하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에 대한 갈증도 줄어들었다. 이 학교 2학년 김다혜 교사는 “아이들이 '(스마트폰이 없으면) 뭐 하고 놀지?'라며 처음에는 고민하지만 여기는 할 게 많다”면서 “대신 할 활동이 늘어나니 불평도 잦아들었다”고 말했다.
농산어촌 유학은 가족과 함께 마을로 이사와 함께 지내는 ‘가족체류형’과 농가에 하숙하는 ‘홈스테이형’, 보호자 역할을 하는 활동가와 함께 생활하는 ‘지역센터형’이 있다. 각 체류 유형별로 지원금도 나온다.
이들 중에서 부모님과 함께 이주해와서 생활하는 ‘가족체류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다. 전남에서는 이들 가족을 위해 9개 시·군 10개 마을을 유학마을로 지정, 운영하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범 과장은 “전남 지역은 인구 유출이 심각해 30년 이내 지방소멸 위기에 내몰린 곳"이라며 “전학생이 있는 서울 지역과 연계해 농산물 직거래나 공동구매 등 경제 활성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