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은 아수라장입니다. 병상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치료할 의료진도 없습니다. 예견된 상황인데 정부는 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답답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12일 최다치를 경신한 가운데 의료현장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 병상이 없어 대기하고 있는 코로나19 환자 수가 이날 0시 기준 수도권에서만 1739명이지만, 정부의 적절치 못한 판단으로 의료붕괴는 이미 현실화됐다는 지적이다.
앞서 의료계는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계획에 대해 확진자 수 급증, 특히 중증 및 사망자 수 증가를 심각히 경고했다. 신규 확진자 수가 늘어나면 위중증도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는 확진자 수 증가에 따른 병상 부족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는 대신 재택치료를 기본방침으로 내놨다.
문제는 지난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에서 벗어나기도 전에 겨울로 접어든 상태에서 위드 코로나를 시행하고, 오미크론 변이까지 국내에 유입됐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숫자도 급속도로 늘었고, 고스란히 위중증 환자 증가로 이어졌다.
한 의료 관계자는 "정부가 궁여지책으로 내놓은 재택치료 확대 방침은 제때 입원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확진자의 중증도를 높여 위중증 환자를 크게 늘리는 결과를 낳았다"고 꼬집으며 "입원할 수 없다는 말만 반복해야 하는 보건소 직원이나 방역 노동자들이 심각한 스트레스로 사직서를 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밝혔다.
의료대응 역량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실제로 생활치료센터에 가야 할 확진자는 재택 지료를, 입원해야 할 확진자는 생활치료센터에 머무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생활치료센터로 오는 환자의 중증도는 갈수록 상승하지만, 이송할 병상이 없어 '대기' 상태인 경우가 다수다.
재택치료도 위중증 환자를 확대하기는 마찬가지다. 재택치료 환자는 하루 두 차례 의료진이 통화로 모니터링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진료경험이 전혀 없는 의료진이 3시간짜리 온라인교육을 받고 투입되는 실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자체에 따라 체온계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같은 모니터링 키트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간신히 병상을 확보하더라도 더 큰 문제는 의사와 간호사 등 환자를 돌볼 의료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중환자는 일반 중환자보다 더 많은 간호인력이 필요하다. 이 인력은 기존 중환자실 인력을 축소해서 끌어온 일손이다. 서울 보라매병원은 간호인력의 부족으로 위중증 환자 병상 가운데 일부만 운영 중이며, 서울의료원은 운영할 여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지역 코로나 전담병원에서 중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어렵사리 간호사를 충원해도 충원된 만큼 사직해 기존 인력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이 현실"이라며 "위중증으로 인공호흡기를 달아야 하는 코로나19 환자를 전원할 수 없어 일반병동에서 관련 교육이 되지 않은 간호사들이 돌봐야 할 정도"라고 토로했다.
정부는 확진자 증가폭을 줄일 대책으로 코로나19 3차접종(추가접종)과 청소년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하지만 백신의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최소 2주일에서 4주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에 확진자가 지금처럼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시점에는 백신에만 의존하기 어렵다. 특히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가 고령층에 집중되는 현실에서 소아·청소년 접종에 인력을 쏟는 것은 적절치 못하단 비판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거리두기를 다시 강화해 바이러스의 전파를 최대한 줄이고, 일반병상을 확보해 경증~중등증 확진자가 위중증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다른 나라들이 했던 것처럼 체육관 등에 임시병상을 확충하는 방안까지 고려해 전체 의료대응체계가 무너지는 상황에 이르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중증자는 최소 2주 이상 치료해야 하므로 병상 가동률은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며 "기존보다 더욱 강력한 거리두기를 병행해서 확진자를 줄이면서 일반 병상을 최대한 늘려 고령자나 기저질환자가 항체치료제로 초기부터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하는 것이 해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