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 자율주행차 최대 수혜…목표주가 40만원 ↑” - KB증권

입력 2021-12-21 07: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KB증권)
(출처=KB증권)

KB증권은 21일 LG이노텍에 대해 ‘향후 추가 상승여력이 충분하다’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 주가는 40만 원으로 높여 잡았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LG이노텍은 내년 추정 실적 기준 현재 주가수익비율(P/E)이 7.9배를 기록해 저평가됐다”며 “내년 P/E 10배를 적용한 목표주가 40만 원이 애플 메타버스 확장현실(XR) 기기, 자율주행차(애플카),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기판 등의 신사업 가치를 사실상 반영하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LG이노텍은 기판 사업에서 수익성이 가장 높은 FC-BGA 시장에 신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조적 장기 호황이 예상되는 만큼 기판 사업의 영업이익 기여도는 2020년 전체 이익의 21%에서 2023년 34%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했다.

김동원 연구원은 “LG이노텍 광학부품과 전장부품이 애플의 메타버스 하드웨어 기기(XR)와 자율주행차(애플카)에 탑재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향후 3년간 공급부족이 예상되는 반도체 기판 사업 이익이 과거 대비 2배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내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14 하드웨어 사양이 2015년 아이폰6S 이후 7년 만에 풀 체인지가 이뤄진다”며 “판가상승 및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LG이노텍은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의 최대 수혜가 예상된다는 평가다. LG이노텍은 자율주행차의 핵심인 광학기술과 통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동시에 글로벌 자동차 업체로부터 자율주행차 부품 생산을 위한 양산성 검증을 완료한 상태다. 10조 원 수주 잔고를 확보한 LG이노텍 전장부품 사업은 향후 연평균 3조 원 이상의 신규 수주가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내년에는 글로벌 자동차 업체 20개 이상이 자율주행차 핵심부품의 신규공급을 확대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전장부품 사업은 내년 하반기부터 흑자전환이 전망돼 본격 실적 턴어라운드 국면에 진입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투자 확대 10곳 중 1곳 뿐⋯'경제 한파' 이미 시작됐다 [차기정부 기업과제 설문]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출근길 67점, 퇴근 후 39점”…얼굴로 본 스트레스 보고서 ‘마음첵’ [써보니]
  • 은행 예금 ‘식고’ 저축은행 ‘후끈’…예테크족 시선 집중
  • 삼성전자, 獨 HVAC 기업 '플렉트' 인수 추진
  • 글로벌 항노화 전쟁 시작…국내 기업도 ‘노화 치료제’ 개발 본격화 [돈이 되는 항노화②]
  • '고양이 그림자 사진 챌린지' SNS 피드 점령…만드는 방법은?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13: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96,000
    • +0.9%
    • 이더리움
    • 3,746,000
    • +8.33%
    • 비트코인 캐시
    • 575,000
    • +2.5%
    • 리플
    • 3,619
    • +3.85%
    • 솔라나
    • 255,800
    • +6.94%
    • 에이다
    • 1,157
    • +4.05%
    • 이오스
    • 1,231
    • +1.4%
    • 트론
    • 384
    • +2.95%
    • 스텔라루멘
    • 438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00
    • +2.83%
    • 체인링크
    • 24,320
    • +5.42%
    • 샌드박스
    • 521
    • +7.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