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 사법지형] 향후 5년 사법부 모습, 대통령 선거 '유권자의 선택'이 결정

입력 2022-03-0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2-03-06 19: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차기 대통령, 임기 중 13명의 대법관·헌법재판관 전원 임명
유권자의 대통령 선택에 따라 사법부 향배 달라져

▲사법부 (이미지투데이)
▲사법부 (이미지투데이)

향후 5년의 대한민국 운명을 좌우할 대통령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로 뽑히는 대통령은 역대 누구보다도 강한 사법부 인사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임기 중 대법원장과 12명의 대법관, 헌법재판소장 포함 헌법재판관 전원을 임명할 예정이어서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사법부의 판단과 시스템에 방향을 제시하고, 이는 사회 전체 분위기에 영향을 준다. 누가 대통령이 돼 인사권을 행사하는지에 유권자의 관심이 필요한 이유다.

6일 이투데이는 유권자의 현명한 판단을 위해 법조계 전문가들에게 각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권력 지형이 어떻게 바뀔지에 대해 묻고 진단해봤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사법 농단'의 중심이 된 법원행정처를 없애고 대법원장의 헌법재판관 지명권을 폐지하며 국회 선출 헌법재판관 수를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내 사법부의 민주화를 위한 방안을 다수 제시했다. 법조계 전문가들은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사법부 구성의 진보적 성향과 다양성이 늘어날 것"이라고 봤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는 통합가정법원·통합행정심판원 등을 설치해 법원의 전문성을 높이고 법률구조기관을 통합하는 등 사법 시스템을 개선하는 위주의 방안을 내놨다. 법조계 전문가들은 "윤 후보가 당선될 경우 보수적 성향과 경직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부의 성향에 따라 사법부 최고 기관들의 판단이 달라지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장영수 고려대 로스쿨 교수는 "대통령의 임명권에 의해 사법부의 성향 좌지우지되는 게 바람직하냐는 부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며 "제왕적 대통령제·사법 농단 등의 말이 나오는 배경은 대통령이 사법부 수장을 임명하기 때문에 이들이 대등하게 견제하지 못해서"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에 의해 어떻게 되는가보다 '어떻게 돼야 하는가'를 살펴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재황 성균관대 로스쿨 교수 역시 "정부에 따른 법관의 성향에 집중하기보다 자질 있는 사람을 뽑을 수 있는 시스템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10만 달러 못 넘어선 채 급락…투심 위축 [Bit코인]
  • 삼성전자, 반도체 쇄신 인사… 전영현 부회장 메모리 직접 챙긴다 [종합]
  • 서울 폭설로 도로 통제…북악산로ㆍ감청동길ㆍ인왕산길ㆍ감사원길
  • 단독 삼성화재, 반려동물 서비스 재시동 건다
  • 美ㆍ中 빅테크 거센 자본공세…설 자리 잃어가는 韓기업[韓 ICT, 진짜 위기다上]
  • 재산 갈등이 소송전으로 비화…남보다 못한 가족들 [서초동 MSG]
  • 트럼프 관세 위협에… 멕시코 간 우리 기업들, 대응책 고심
  • 韓 시장 노리는 BYD 씰·아토3·돌핀 만나보니…국내 모델 대항마 가능할까 [모빌리티]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14: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798,000
    • -1.05%
    • 이더리움
    • 4,769,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0.5%
    • 리플
    • 1,917
    • -4.96%
    • 솔라나
    • 321,900
    • -2.69%
    • 에이다
    • 1,342
    • -2.12%
    • 이오스
    • 1,104
    • -5.24%
    • 트론
    • 276
    • -1.08%
    • 스텔라루멘
    • 606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450
    • -2.74%
    • 체인링크
    • 25,040
    • +2.37%
    • 샌드박스
    • 829
    • -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