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냥이 엄마’ 김건희 “개 먹는 곳은 우리와 중국 뿐”

입력 2022-06-13 10: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 페이스북 ‘건희사랑’)
▲(출처= 페이스북 ‘건희사랑’)
윤석열 대통령의 아내인 김건희 여사가 언론 인터뷰에서 동물보호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13일 김 여사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개 식용 종식에 대해 “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면서 “영세한 식용업체들에 업종 전환을 위한 정책 지원을 해 주는 방식도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제 규모가 있는 나라 중 개를 먹는 곳은 우리나라와 중국뿐”이라며 “한국에 대한 반정서를 가지게 할 수 있으니 보편적인 문화는 선진국과 공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여사는 “개고기는 사실 건강에도 좋지 않다. 식용 목적으로 키우는 개들은 좁은 뜰장에서 먹고 자고 배변까지 한다. 또 항생제를 먹이며 키우는 사례도 있다”며 “궁극적으로 개 식용을 안 한다는 건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구에 대한 존중의 표현이자 생명에 대한 존중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여사는 윤석열 정부에서 동물 학대와 유기견 방치 문제, 개 식용 문제 등에 대해 구체적 성과가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동물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라며 “그러면 많은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김 여사는 유기동물과 관련해선 “책임감 없이 키우는 게 큰 문제”라며 “아플 때 드는 병원비도 유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그래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또 동물 학대의 수법이 잔혹해지는 문제에 대해선 “동물 학대를 그저 소수의 문제로만 볼 건 아니다”라며 “동물 학대와 살인 사건, 묻지마 폭행 등을 벌이는 사람들의 심리 밑바탕에는 결국 같은 마음이 깔렸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김 여사는 “강호순 등 국내 연쇄살인범 중 범행 전에 동물 학대를 저지른 사례도 여럿 있다”고도 말했다.

한편 김 여사는 지난달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분위기를 전하며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했다.

김 여사는 “(양국 정상이) 서로 기르는 반려견 얘기를 하면서 분위기가 아주 좋아졌다고 했다. 두 정상이 공통점이 많다 보니 친근해졌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우리 대통령에게 호감을 많이 느꼈다고 한다. 덕분에 국익 측면에서 많은 걸 얻은 회담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0: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934,000
    • -1.59%
    • 이더리움
    • 2,713,000
    • -3%
    • 비트코인 캐시
    • 444,200
    • -1.94%
    • 리플
    • 3,067
    • -1.95%
    • 솔라나
    • 177,800
    • -4.51%
    • 에이다
    • 972
    • -2.51%
    • 이오스
    • 1,234
    • +22.66%
    • 트론
    • 351
    • -0.85%
    • 스텔라루멘
    • 390
    • -2.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50
    • -2.01%
    • 체인링크
    • 19,600
    • -4.39%
    • 샌드박스
    • 391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