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강달러로 급격한 자본 유출 직면
“연착륙 시도 상당히 어려울 것”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버냉키 전 의장은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에서 10일(현지시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선정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건들이 금융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현재 미국 금융시스템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고 운을 뗐다. 그는 “미국 재정 안정성에 다소 리스크가 있다”면서도 “(금융위기 때인) 14년 전처럼 끔찍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당시 금융위기가 부실대출이라는 금융 시스템의 내부적 요인에서 비롯됐지만, 현재 위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외부 요인에서 출발했다고도 했다.
다만 버냉키 전 의장은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건들이 몰고 올 역풍을 우려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상황을 언급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 유럽 금융기관들은 천연가스 공급 중단에 따른 경제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신흥시장은 강달러 여파로 자본이 급격하게 유출되는 상황에 직면했다. 버냉키는 이들 지역에서 발생한 위기가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악재가 속출한 상황에서 연준은 매우 까다로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 버냉키 전 의장은 “경기침체 유발 없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연착륙 시도는 상당히 어렵다”며 “인플레이션 목표치는 중기적 목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6개월 내 기준을 달성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버냉키 의장 시절인 2012년 연준은 물가 목표치를 2%로 정했다.
이어 그는 “금리 인상으로 경기가 둔화하면 연준은 가격안정과 최대고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 달성에서 균형을 맞추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는 금융위기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이날 더글러스 다이아몬드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 필립 딥비그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 교수와 함께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버냉키 전 의장은 1983년 논문을 통해 근대 역사상 최악의 경제위기로 꼽히는 1930년대 대공황을 분석했다. ‘뱅크런(은행 예금인출 사태)’이 경제 전체를 파탄으로 내몬 결정적 요인이었다는 점을 증명하고, 금융시장 규제 필요성을 역설했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딥비그 교수와 뱅크런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공하는 논문을 썼다.
버냉키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 연준 의장으로 재직하면서 자신의 연구를 현실에 적용했다. 주택 버블 붕괴가 도화선이 돼 경제 전체가 무너졌던 2008년 금융위기 때, 버냉키 전 의장은 제로 금리와 양적완화 정책으로 맞섰다. 그는 “금융시스템 붕괴가 경제 전체로 번지는 사태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회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