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담대 금리가 치솟으면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금융소비자들 중 70% 이상이 고정금리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리 상승폭을 제한해주는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도 주목을 받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지난달 신규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약 90%가 고정금리를 조건으로 이뤄졌다. 신한은행의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도 9월 67% 가량을 기록한데 이어 지난달에는 70%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 금리 인상에 불안함을 느낌 금융소비자들이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당분간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소비자들이 고정금리를 선호하는 것은 단순히 불안감 때문만은 아니다. 실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와의 격차가 축소되고 있으며, 일부 역전현상까지 나타났다. 11일 현재 KB·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코픽스 기준)는 연 5.180∼7.711%, 고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5.300∼7.273% 수준이다.
하단의 차이가 0.12%포인트에 불과하다. 상단은 되레 변동금리가 0.438%포인트나 높다.
이처럼 역전현상까지 나타난 것은 대출금리를 책정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금리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매월 1회 바뀌는 코픽스를 기준으로 하는 반면, 고정금리는 금융채 5년물을 지표로 쓴다. 보통 5년물의 경우 금리의 경우 급격하게 오르지는 않지만, 최근 불안한 시장 상황으로 인해 변동폭이 커지고 있다.
이에 고정금리도 불안하다는 금융소비자들도 나오고 있다. 이들이 주목하는 것은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 이다. 금리상한형 주담대 상품은 은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금리가 높아지지 않도록 '상한(캡)'을 적용해주는 구조다. 은행이 금리상승 리스크를 떠안는 만큼 특약 가입시 가산금리가 붙게 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부담해야 하는 만큼 은행들이 지난해 7월 선보였지만, 수요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최근 금리가 급격히 치솟으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10월 금리상한형 주담대 취급 건수가 269건으로, 전월 대비 43%나 늘어난 것이다. 이달 들어 11월까지도 이미 357억 원(167건)어치가 팔려 월 판매 규모가 5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 금리 인상에 자금시장 불안까지 겹치면서 대출 금리가 크게 오르자 이자 비용을 줄이기 위한 차주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면서 "금리상한형 특약 등 그간 주목을 받지 못하던 상품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