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기술혁신위해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 머리 맞대

입력 2022-12-2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부, '제1차 에너지 공기업 기술혁신 협의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에너지 기술혁신을 모색하기 위해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이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컨벤션센터에서 '제1차 에너지 공기업 기술혁신 협의회'를 열었다.

이 협의회는 그간 에너지 연구개발(R&D)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유지한 최고기술경영자급 '에너지 공기업 R&D 협의회'를 모태로 이번에 사장급으로 격상, 개편해 진행됐다.

이번 1차 협의회에서는 공기업 R&D 협력사업 우수성과를 공유하고, 정부와 공기업의 효율적 R&D 운영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에너지 R&D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이날 17개 에너지 공기업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공부문 에너지 R&D 성과확산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MOU는 R&D 정보 공유, 후속 사업 연계 등 R&D 우수성과 확산 및 투자 연계형 R&D 기반의 기술창업 지원체계인 '에너지 와일드캣 프로그램' 마련에 협력해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와일드캣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들고양이에 빗대 불확실성이 크지만, 성공 시 막대한 이익이 예상되는 벤처 사업을 말한다.

이어 한국가스공사는 규제 개선 우수사례로 전기, 열, 수소 생산이 가능한 복합에너지 공급 허브 구축과 연계한 마이크로그리드 내 직접전력거래 사업모델의 국내 최초 실증사례를 발표했다.

한국남부발전은 사업화 우수 사례로 복합화력 배열회수보일러 부식방지 기술과 집진 기술을 융합한 먼지 제어 기술 개발을 통해 약 81억 원의 매출을 달성한 사례를 소개했다.

에너지기술평가원은 에너지 R&D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의 R&D 기획 및 관리체계 개선, 정보공유 고도화를 골자로 하는 '정부-공기업 R&D 시너지 창출 방안'을 소개했다.

협의회를 주재한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에너지 R&D에서 에너지 공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이 효율적인 R&D 투자와 우수성과 창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면서 "R&D 우수성과의 사업화 촉진과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큰손’ 국민연금 美주식 바구니 'M7' 팔고 '팔란티어' 담았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법인 가상자산 진출 '코인마켓'에 기회 …은행 진출 '마중물'
  • 故 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작품 속 딸로 만나 행복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11: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16,000
    • -1.1%
    • 이더리움
    • 4,040,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497,500
    • -1.09%
    • 리플
    • 4,159
    • -1.05%
    • 솔라나
    • 285,000
    • -2.93%
    • 에이다
    • 1,200
    • +2.04%
    • 이오스
    • 965
    • -0.31%
    • 트론
    • 362
    • +1.12%
    • 스텔라루멘
    • 524
    • -0.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200
    • +1.52%
    • 체인링크
    • 28,550
    • +0.28%
    • 샌드박스
    • 601
    • +0.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