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산부산물 재활용률 30%까지 높인다…1000억 투자해 산업 육성

입력 2023-01-12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굴 껍데기, 석회석 대체재 등으로 제조…판로확대 위한 공공구매 확대

▲부산수산물 발생량 및 재활용률 현황. (해양수산부)
▲부산수산물 발생량 및 재활용률 현황. (해양수산부)
정부가 2027년까지 수산부산물의 재활용률을 현재 19.5%에서 30%까지 높이기로 했다. 또 1000억 원을 투입해 관련 산업을 육성한다.

수산부산물은 가공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뼈, 지느러미, 내장, 껍질 등을 일컫는 것으로 칼슘, 콜라겐 등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그동안은 수분·염분 처리 문제 등으로 재활용이 어려웠다.

해양수산부는 어업인ㆍ지자체 등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지속가능발전 국가위원회 협의 등을 거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본계획'을 확정ㆍ발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된 수산부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된, 수산부산물 관련 최초의 법정 계획이다. 최근 10년간 국내 수산부산물의 연평균 발생량은 약 109만 톤이고 2020년 기준 재활용량은 21만8000톤으로 재활용률이 약 19.5%로 추정된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수산부산물 분리배출시설을 확충하고 수협중앙회 등 생산자단체가 분리배출 업무를 위탁 수행한다. 굴 껍데기 같은 패류의 경우 전처리 시설은 내년까지 확충하고 탈황제, 석회석 대체재 등 재활용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대규모 자원화시설를 구축한다.

패류 이외에는 2025년부터 지역별로 전처리ㆍ자원화시설을 확충한다. 예를 들어 서남해권은 해조류, 동해권은 의료ㆍ헬스케어 원천기술을 개발한다.

또 판로확대를 위해 신규 재활용 제품에 대한 공공구매 및 선도적 사용을 확대하고 친환경 인증 및 녹색구매지원센터 내 입점도 지원한다. 앞으로는 수요(재활용업체 등)ㆍ공급(부산물 발생지) 시장의 가속 성장을 위해 AI 기반 수요-공급 매칭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해수부는 수산부산물을 활용해 해안 조성 기술(421억 원), 인공어초(97억 원), 어장 환경 개선제(7억 원) 등을 개발하는 고부가가치 재활용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아울러 바이오(300억 원)ㆍ괭생이모자반 등 탄소저감 소재화(18억 원) 등 해양생명공학기술과 접목한 재활용 기술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수산부산물 기초통계 구축, 탄소배출권 전환ㆍ거래 지원, 정책자금 지원 및 기술 이전,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생태계 조성도 추진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앞으로 수산물의 생산부터 수산부산물의 처리, 재활용까지 전 주기에 걸친 자원순환 관리를 통해 연안·어장 환경을 살리고 수산부산물이 어촌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4: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37,000
    • -0.73%
    • 이더리움
    • 2,717,000
    • -1.34%
    • 비트코인 캐시
    • 450,900
    • +0.2%
    • 리플
    • 3,068
    • -0.74%
    • 솔라나
    • 177,500
    • -3.27%
    • 에이다
    • 968
    • -2.12%
    • 이오스
    • 1,202
    • +1.43%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91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390
    • -0.96%
    • 체인링크
    • 19,530
    • -2.45%
    • 샌드박스
    • 392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