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L&C, ‘KBIS 2023’ 참가로 해외 인테리어스톤 시장 공략..."3년 내 글로벌 톱3 도약"

입력 2023-02-01 10: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건자재 기업인 현대L&C는 지난달 31일부터 사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 2023’에 참가한다. (사진제공=현대L&C)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건자재 기업인 현대L&C는 지난달 31일부터 사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 2023’에 참가한다. (사진제공=현대L&C)

현대L&C가 글로벌 인테리어 스톤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건자재 기업인 현대L&C는 지난달 31일부터 사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 2023’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KBIS는 세계 600여 개 업체가 참가하는 북미 지역 대표 주방·욕실 전시회다. 현대L&C는 올해까지 총 12회째 참가하고 있다.

현대L&C는 이번 전시회에서 ‘자연이 만들어내는 예술, EARTH’(지구를 뜻하는 ‘Earth’와 예술을 뜻하는 ‘Art’를 조합)란 주제로 부스를 조성했다. 총 240㎡ 규모로 예술품을 감상하는 아트 시어터 콘셉트로 꾸며졌다.

이번 전시회에선 천연 석영이 90% 이상 사용된 인테리어 스톤 ‘칸스톤(수출명 Hanstone)’과 MMA(메틸메타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인 ‘하넥스(Hanex)’를 비롯해 총 120여 종의 제품과 9종의 신제품을 선보인다. 현대L&C에 따르면 칸스톤 신제품 ‘오피모 컬렉션’은 강도와 내오염성이 뛰어나다. 기존 칸스톤보다 물결무늬와 적층무늬가 다채로워 천연석 규암과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정교하다.

앞서 회사 측은 지난해 8월 500억 원 규모의 투자로 세종 사업장에 ‘세종 칸스톤 제2 생산라인’을 구축, 인프라를 확충했다. 이를 통해 연간 220만㎡ 규모의 인테리어 스톤을 생산하게 된다. 스페인 코센티노, 이스라엘 시저스톤, 미국 캠브리아 등에 이어 글로벌 업계 4위에 해당되는 생산 규모다.

박승원 현대L&C 미주본부장은 “북미시장 공략을 위해 다양한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전개하고, 직판 센터 재정비 및 3PL(물류 아웃소싱) 등으로 영업 채널을 강화해 향후 3년 내 글로벌 톱3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1: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060,000
    • -1.35%
    • 이더리움
    • 2,710,000
    • -2.62%
    • 비트코인 캐시
    • 447,600
    • -1.34%
    • 리플
    • 3,044
    • -2.03%
    • 솔라나
    • 177,600
    • -3.74%
    • 에이다
    • 969
    • -2.02%
    • 이오스
    • 1,241
    • +22.99%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90
    • -1.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30
    • -1.22%
    • 체인링크
    • 19,570
    • -3.69%
    • 샌드박스
    • 389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