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1만2000명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2년 만에 최소 증가폭을 기록했다.
특히 60세 미만 취업자 수가 10만 명 넘게 줄고, 제조업 취업자는 2개월 째 감소세를 보이는 등 경기 둔화 여파가 고용시장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모양새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71만4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만2000명(1.1%) 늘었다.
이는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작년 2월 취업자 증가 폭이 103만7000명으로 컸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경기 둔화에 따른 고용시장 위축, 고령화 등 인구 구조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달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됐지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9개월째 둔화했다"며 "고용률 전체로 봤을 때 나쁜 상황은 아니지만 경기 영향이 조금씩 영향권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령별 취업자를 보면 60세 이상은 41만3000명 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10만1000명 줄었다. 50대(7만7000명), 30대(2만4000명)가 증가했으나, 20대 이하 청년층(-12만5000명)과 40대(-7만7000명)는 감소했다.
이중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2월(-14만2000명) 이후 가장 크다. 청년층 취업자는 4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감소 폭은 확대되고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1년 전보다 2만7000명 줄면서 전월(-3만5000명)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감소세(전년대비)를 지속하고 있는 수출 부진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셈이다.
도소매업(-7만6000명), 운수·창고업(-4만4000명), 농림어업(-4만4000명) 등에서도 취업자가 줄었다. 반면 보건·복지업(+19만2000명), 숙박·음식점업(+17만6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47만 명 증가한 반면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12만8000명, 8000명 줄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5만5000명 늘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5000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7만2000명)도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1%로 전년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래 2월 기준 최고치다. 실업자 수(89만 명)은 6만4000명 줄었으며 실업률(3.1%)도 0.3%p 감소했다. 다만 청년층 실업률이 7.0%로 0.1%p 상승했고, 30대(2.7%)도 0.1%p 늘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작년 고용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 둔화가 지속되고 있다"며 "다만 일상회복 등에 따른 대면서비스 정상화, 외국인 근로자 유입 등으로 애초 전망보다 둔화폭이 축소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말했다.
작년 12월 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전년 81만 명보다 8분의 1 수준인 10만 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