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미사일 발사 규탄
독자 제재 이행 강화 입장 조율도
![▲박진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왼쪽),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2월 18일(현지시간) 뮌헨 소재 호텔에서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장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 긴급기자회견에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3/07/20230714212407_1906177_652_435.jpg)
박진 외교부 장관이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을 가지고 북한 핵‧미사일 대응에 대해 논의했다.
박 장관은 이날 자카르타 세인트레지스 호텔에서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자카르타를 방문한 블링컨 장관과 하야시 외무상을 만나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고조 속 3국 공조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3국 외교장관회담은 2월 뮌헨안보회의 계기로 열린 이후 약 5개월만이다. 당시 회담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직후 긴급 회동으로 잡힌 일정이었는데, 이날 회담도 12일 북한이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을 발사한지 이틀 만에 열려 북한 도발 대응에 초점이 맞춰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회담 직전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ICBM 발사가 정당하다’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하기도 한 만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중대 도발이라는 점을 명확히하고, 이를 규탄했을 것으로 점쳐진다.
관련 뉴스
또 독자 대북 제재 이행 강화를 위한 입장 조율도 이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일 3국은 그간 북한 핵·미사일 개발의 돈줄을 차단하기 위해 수시로 독자 대북 제재를 단행해왔다.
3국 외교장관은 또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새로운 자금줄로 부상하는 불법 사이버 활동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북한 인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도 협의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