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자도 피곤한 당신, 혹시 ‘수면무호흡증’? [e건강~쏙]

입력 2023-10-16 10:00 수정 2023-10-18 15: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면 부족, 만성피로 부르는 수면무호흡증…환자수 증가세

양압기치료 어려울 때 구강 내 장치치료…중등도 이상에 효과적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 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 하루 7시간 잠을 자도 항상 피곤했던 직장인 A(35)씨. 심한 코골이에 자주 잠에서 깨다보니 숙면을 취하기 어려웠다. 병원을 찾은 A 씨는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삶의 질에 있어서 건강한 수면은 매우 중요하다. 건강한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만성피로는 물론 고혈압, 뇌졸중, 심부정맥, 당뇨병까지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상부 기도가 반복적으로 막혀서 숨을 못 쉬고 자주 잠에서 깨는 질환이다. 구강 구조상 혀가 크고, 아래턱이 작은 사람에게서 많이 발병한다.

(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만과 연관성 크고 폐경기 이후 환자수 많아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도 크게 늘고 있다. 1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는 3배 이상 늘었다.

자료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 진료 인원은 2017년 3만1377명에서 2018년 4만5067명, 2019년 8만3683명으로 늘었다. 이어 2020년 9만3697명에 이어 2021년에는 10만1348명으로 연간 진료 인원이 10만 명을 넘었다. 지난해 수면무호흡증 진료 인원 11만3224명으로 2019년 보다 35% 증가했다.

특히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수면무호흡증 요양급여비용 총액도 대폭 늘었다. 2017년 약 86억 원이었던 급여비용은 2018년 202억 원, 2019년 565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어 2020년 550억 원, 2021년 553억 원을 기록한 후 지난해 675억 원으로 상승했다.

(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출처=건강보험심사평가원)

◇만성피로에 고혈압·뇌졸중·심부정맥·당뇨병 위험 증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낮에는 숨 쉬는 데에 문제없지만, 잠이 들면 숨이 막혀 컥컥 대는 증상을 보인다. 수면 중에 혀뿌리가 있는 상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생긴다.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수면무호흡(Sleep Apnea)이나 숨을 얕게 쉬는 수면저호흡(Sleep Hypopnea) 증상이 한 시간 동안 5회 이상 나타나면 수면무호흡증에 해당한다.

홍성옥 강동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외과 교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히 수면 부족과 만성피로만으로도 힘들지만, 방치하면 고혈압, 뇌졸중, 심부정맥, 당뇨병 그리고 사망률도 올라가게 돼서 더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홍성옥 교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비만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환자수가 확연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2022년 환자 수 중 약 80%가 남성(남성 8만9998명, 여성 2만3226명)이었다. 여성은 폐경기가 시작되는 50대부터 크게 느는 것(50세 이상 1만5528명)으로 나타났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 시간당 수면무호흡 또는 저호흡이 나타나는 횟수로 진단한다. 이를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라고 하는데, 5/시간이면 정상범위고, 경증인 경우 5~15/시간, 중등도의 경우 15~30/시간이다. 30/시간 이상이면 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 한다.

진단은 수면다원검사로 진행하며 2018년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돼 수면무호흡증으로 수면다원검사를 받는 경우 보험 적용이 가능하다.

▲강동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외과 홍성옥 교수 (사진제공=강동경희대병원)
▲강동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외과 홍성옥 교수 (사진제공=강동경희대병원)

◇양압기 치료 효과 좋지만, 착용 불편함으로 지속 어려워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양압기 치료다. 수면 중 호흡을 할 때마다 양압기를 통해 공기를 상기도로 불어넣어 상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주간 졸음 개선, 혈압 강화, 인슐린 민감도 개선, 심혈관질환 감소 등 치료 효과는 매우 좋지만 매일 마스크를 쓰고 자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어 지속적인 착용에 실패한 환자가 많았다.

양압기 치료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치료가 치과에서 시행하는 구강 내 장치치료다. 구강 내 장치는 수면 시 입안 치아에 착용하는 장치다. 아래턱을 앞으로 빼서 좁은 기도 공간을 넓히고 잘 때 기도를 막는 혀를 전방으로 내밀도록 해서 기도를 넓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한다.

코골이가 있거나 경도에서 중등도의 수면무호흡 환자가 양압기 치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 양압기 치료에 실패한 경우에 쓰인다. 홍성옥 교수는 “다만, 심장질환이나 호흡기질환, 만성 전신질환, 심각한 치주 질환, 틀니 사용자, 턱관절 질환, 심한 비부비동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고 했다.

◇국내 연구로 구강 내 장치치료 효과 확인

해외 연구에서는 구강 내 장치치료가 경증 또는 중등도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는 양압기 치료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나, 중등도 이상에서는 그 효과가 50% 이내라고 알려져 있었다.

2020년, 국내에서도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구강 내 장치치료 후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 구강 내 장치치료는 중등도 이상의 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수면무호흡 증상 완화는 물론 깊은 수면의 양, 수면의 질 및 불면 증상까지 호전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구강내 장치 치료 외에도 다양한 치료법이 있다. 경구개가 좁은 경우 시술(급속상악팽창술)로 경구개를 넓혀주어 수면무호흡증을 개선할 수 있다. 아래턱이 무턱이거나 얼굴이 길고 좁은 아데노이드 페이스를 가진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양악전진술)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외에도 교정으로 상악 확장이 어려운 성인에게 시행하는 상악골 확장수술, 아래턱뼈를 앞으로 당겨 기도를 확보하는 이설근 전진 수술 등이 있다.

홍성옥 교수는 “얼굴 형태, 연령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해선 구강외과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다우지수 사상 최고치…뉴욕증시, 월가 출신 재무장관 지명에 환호
  • [날씨] 제주 시간당 30㎜ 겨울비…일부 지역은 강풍 동반한 눈 소식
  • '배짱똘끼' 강민구 마무리…'최강야구' 연천 미라클 직관전 결과는?
  • 둔촌주공 숨통 트였다…시중은행 금리 줄인하
  • 韓 경제 최대 리스크 ‘가계부채’…범인은 자영업 대출
  • 정우성, '혼외자 스캔들' 부담?…"청룡영화상 참석 재논의"
  • "여보! 부모님 폰에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해드려야겠어요" [경제한줌]
  • 갖고 싶은 생애 첫차 물어보니…"1000만 원대 SUV 원해요"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11.26 12: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1,406,000
    • -2.43%
    • 이더리움
    • 4,777,000
    • +3.35%
    • 비트코인 캐시
    • 695,500
    • -0.71%
    • 리플
    • 2,021
    • +5.26%
    • 솔라나
    • 331,100
    • -4.28%
    • 에이다
    • 1,357
    • -1.31%
    • 이오스
    • 1,147
    • +1.5%
    • 트론
    • 276
    • -3.83%
    • 스텔라루멘
    • 707
    • -0.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200
    • +0.11%
    • 체인링크
    • 24,500
    • +1.37%
    • 샌드박스
    • 917
    • -20.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