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이하 차주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다른 연령대를 압도하는 현상이 2년째 계속되고 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기도 전에 빚더미에 앉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청년을 상생금융 대상자로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11일 금융감독원을 통해 19개 은행(시중·지방·인터넷 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만 20대 이하 연령층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9%로 집계됐다.
한 달 이상 원리금을 연체한 비율이 전년 동기(0.24%)보다 0.15%포인트(p) 급등한 것인데, 다른 연령대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30대 연체율은 0.20%로 20대 이하의 절반 수준이었다. 40대와 60대 이상은 각 0.23%, 50대는 0.25% 등이었다.
이 같은 현상은 8분기째 지속되고 있다. 20대 이하 연체율은 지난 2021년 3분기 말 0.14%로, 30대(0.08%), 40대(0.10%), 50대(0.12%), 60대 이상(0.13%)을 처음으로 모두 앞지르기 시작했다.
20대 이하의 연체율은 올해 2분기 말에 0.44%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3분기 말 전분기보다 0.05%p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의 연체액 역시 2분기 말 1500억 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3분기 말 1400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900억 원)보다는 50% 이상 많았다.
20대뿐만 아니라 전 연령대의 건전성이 악화됐다. 전 연령대에서 주택담보대출 연체액과 연체율이 계속 상승 곡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전체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4%로 1년 전(0.12%)의 2배가 됐다. 같은 기간 전체 연체액도 7600억 원에서 1조5600억 원으로 2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20대와 함께 전 연령대에서도 연체율과 연체액이 증가 추세다. 30대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말 0.09%에서 올해 3분기 말 0.20%로 상승했다. 연체액도 1500억 원에서 3400억 원으로 증가했다. 40대 연체율은 0.12%에서 0.23%로 오르고, 연체액은 2200억 원에서 4700억 원으로 늘었다.
50대 연체율도 0.13%에서 0.25%으로 올랐고 연체액은 1800억 원에서 3700억 원으로 증가했다. 60대 연체율(0.13→0.23%)과 연체액(1300억→2400억 원)도 마찬가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