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화업계, 중국發 악재 대비해야"

입력 2009-06-02 15: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격경쟁력 강화, 고부가제품 비중 확대, 수출다변화 등

올해 1분기 세계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던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이 중국발 악재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수입 수요와 환율 효과가 맞물려 생겨난 것이지만 환율 효과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고 공급압력도 높아져 호황이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한동안 잠잠했던 중국 정부의 석유화학업 보호주의 움직임도 다시 강화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올해 1분기 중국 시장에 힘입어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이는 중국의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국내 석유화학 수출시장으로서의 역할을 중국해 해줬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은 몇 년전부터 연기돼 오던 경기 하강이 일시에 밀어닥칠 것으로 예상하고 대책 마련에 부심했지만, 놀랍게도 경기 하강은 오지 않았다"면서 "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중국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수년 전부터 중동 물량이 쏟아져 들오온다는 우려도 많았지만 중동의 신증설 공사 지연과 가동 지연으로 실제 파장은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고환율에 따른 '착시효과'가 크지 않고 중국의 석유화학산업 자급화, 해외 석유화학 기업들의 증산 등으로 호황이 유지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도정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중국으로의 석유화학 수출 물량은 지난 3분기 이후 늘어나는 양상이지만 달러액 기준 매출액은 예년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며 "환율 효과가 아니었다면 실적은 수년 내 최악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높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또 "지난달부터 중국 기업들의 에틸렌 공장 가동률이 90% 이상으로 높아지는 등 불경기 동안 감산에 들어갔던 석유화학 시설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공급 측면의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수익을 위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중동 물량이 본격적으로 중국에 유입되면 경쟁이 심화돼 국내 기업의 매출 규모만이 아니라 제품마진까지 동시에 축소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시장 일부에서는 석유화학의 전반적 수익성이 악화되면 경쟁력이 가장 떨어지는 유럽과 미국의 시설들이 먼저 가동 중단 내지는 폐쇄될 가능성이 높으며 국내 기업은 반사 이익을 얻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유럽과 미국 시설의 가동 중단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아닌 석유화학 경기 하강 속도를 조금 늦출 뿐"이라며 "중국 중심의 수출 성장 모델을 대체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의 석유화학업 보호주의도 조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최근 중국의 반덤핑 움직임이 다른 화학제품에도 번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27일 '2009년 31호 공고문'을 통해 "한국과 태국 기업들이 수출하는 디메틸사이클로실록산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벌인 결과 중국 기업들이 손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중국 정부는 해당제품에 대해 28일부터 5년간 5.4∼25.1%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중국 상무부는 폴리에스터 원료인 테레프탈릭산(TPA)에 대해 이미 지난 2월 반덤핑 조사에 들어간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TPA는 수출물량의 약 95%를 중국에 집중하고 있어 반덤핑 판정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몇몇 업체는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며 "업계는 중국 정부가 '산업의 쌀'로 불리는 폴리에틸렌(PP)와 폴리프로필렌(PE)에 대해서도 반덩핌 조사를 시작할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범용제품의 가격 경쟁력 강화,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중국외 지역으로의 수출 다변화와 같은 근본적인 대책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원은 "국내 유화업계는 생산량의 50%를 수출하고, 수출 중 중국 비중이 60%에 달해 전체적으로는 30%를 중국에 의존한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석유화학 제품 자급화, 보호주의 움직임에 따라 상황이 변화할 수 있는 만큼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와 수출 다변화와 같은 근본벅인 대책을 미리미리 준비해,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홍명보호, 11월 중동 2연전 명단 발표…손흥민 포함·이승우 다시 제외
  • ‘흑백요리사’ 셰프 만날 기회…‘2024 서울미식주간’ 열린다
  • 전남 ‘폐교’ 844곳 가장 많아...서울도 예외 아냐 [문 닫는 학교 4000곳 육박]
  • 금리 인하에 저축 보험 '눈길'…美 대선에 달러 보험 뜬다
  • "성냥갑은 매력 없다"…정비사업 디자인·설계 차별화 박차 [평범한 건 NO, 특화설계 경쟁①]
  • 단독 '부정‧부패' 의혹 장애인아이스하키협회, 상위기관 중징계 처분 뭉갰다
  • "영웅 귀환은 빛났다"…페이커의 T1, '롤드컵' 통산 5회 우승 영광
  • 단독 “북한군 1차 전멸, 우크라이나 아닌 러시아 포격 탓”
  • 오늘의 상승종목

  • 11.04 13: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05,000
    • +0.22%
    • 이더리움
    • 3,443,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471,600
    • -3.83%
    • 리플
    • 707
    • +0%
    • 솔라나
    • 227,200
    • -0.66%
    • 에이다
    • 465
    • -2.72%
    • 이오스
    • 581
    • -1.53%
    • 트론
    • 231
    • +0%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950
    • -1.2%
    • 체인링크
    • 15,020
    • -2.72%
    • 샌드박스
    • 325
    • -1.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