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연내 금리 인하 시사…채굴 비용 증가에 금 공급↓
"2~3분기 추세적 상승" vs "단기 과매수 되돌림 약세장"
국내 금 시세가 사상 최고치를 돌파하며 금 상장지수펀드(ETF)가 개인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금리 인하 관측과 지정학적 갈등, 금 채굴 비용 증가 등으로 달러 대체 자산이자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올라간 영향으로 풀이된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일 1kg짜리 금 현물 1g당 가격은 9만2330원으로 2014년 KRX 금 시장 개장 이후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지난달 말부터 상승세를 타며 올해 2월 26일부터 8거래일 연속 상승하다 이달 8일까지 5.23% 올랐다.
금값이 뛰며 국내 유일 금 현물 ETF ‘ACE KRX 금현물’에는 연초 이후 지난 7일까지 343억 원의 순자산이 유입됐다. 최근 3개월간 원자재 ETF 중 순자산 증감 1위다. 상장 2년만인 지난해 12월 순자산 1000억 원을 넘겼는데, 4개월여만에 40%가 넘게 불며 1445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개인 순매수세가 두드러졌다. 해당 ETF의 연초 이후 지난 8일까지 순매수액은 136억 원에 달했다.
국내 금값 급등은 국제 금 시세 흐름과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지난 8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올해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94% 오른 트라이온스당 2185.5달러에 마감했다. 국제 금값은 7거래일 연속 오르며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금 시세 오름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달러화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금에 수요 몰린 결과로 분석된다. 통상 달러화가 약세면 달러와 대체 관계인 금 가격은 오르곤 했다. 지난 7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하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확신이 들 때까지 머지않았다며 연내 금리 인하 의사를 재확인한 바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스라엘-하마스 중동 전쟁을 거치며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자 각국 중앙은행이 금을 대거 사들인 것도 금 가격 상승세에 불을 붙였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각국 중앙은행은 지난해 1037톤(t) 상당의 금을 매수했다. 2022년(1082t)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금 채굴 비용 증가로 수요가 공급을 압도했기 때문이라는 평가도 있다.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금 생산량은 정체고 수요는 과거 수준을 넘어서는 상황이니 금값 강세는 당연해 보인다”며 “금 채굴 기업의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생산 비용의 증가 때문인데, 인건비와 에너지 비용 증가, 저품위 광석 처리에 따른 비용 상승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금값 흐름을 둔 전망은 엇갈린다. 상승세를 이어가리라는 예상과 단기 강세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동시에 나온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며 조정세가 이어지던 금 가격은 미 10년 국채수익률 하락에 따른 실질금리 하락으로 지난해 12월 수준까지 단번에 회복했다”며 “올해 2~3분기 내 금 가격 추세적 상승 전망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광물 채굴비용(AISC)의 지속적 상승으로 금 채굴 기업의 수익성이 부진하면 신규 투자나 생산활동이 제한돼 추가적 금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최예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유가와 비트코인, 나스닥 등 가격 변동성이 큰 주요 위험자산들과의 동반 랠리 중”이라며 “파월 의장의 의회 증언과 고용지표에서 시장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단기 과매수 상태에 대한 되돌림 약세장을 예상한다”고 짚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하가 6월부터 시작되면 미국 달러 약세와 실질금리 하락이 유효하겠지만, 그 폭이 크지 않고 경기 침체 우려도 제한돼 금 가격이 일방적으로 오를 장세는 아니다”라며 “금 가격은 연말까지 강보합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지만, 현재 단기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