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윈, 161억 원 투자유치 완료해 최대주주 변경...“AI 반도체·열화상센서 기술 결합”

입력 2024-03-11 10: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루윈이 161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완료하고, 최대주주가 변경됐다. 트루윈은 유상증자금을 활용해 열화상센서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을 결합하고, 양자센싱 기술에 투자하는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한 에이아이코어비즈 주식회사는 718만1088주(지분율 12.60%)를 보유해 트루윈의 새로운 최대주주가 됐다. 유상증자 목적은 타법인 증권취득이다.

트루윈은 최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반도체 관련 분야의 사업목적 추가 및 관련 전문가를 경영진 영입하는 등 사업 확장을 위한 행보를 선보이고 있다.

경영진에 새로 합류한 이상헌 박사는 AI반도체 전문가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이박사는 엠텍비젼, 삼성테크윈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현재 디퍼아이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또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된 황일남 이사는 성균관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엔지니어로 LG반도체를 거쳐 현재 온디바이스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트루윈을 설립, 경영해온 남용현 대표이사는 삼성출신 엔지니어로 열화상센서, 얼굴인식 등 자율주행 적용 가능 기술을 비롯해 반도체에 대한 전문성도 보유했다.

트루윈 관계자는 “기존 사업인 자동차 센서사업을 비롯해 열화상 센서 및 반도체 기술, 양자센싱기술을 기반으로 한 첨단산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차량용 전장을 비롯해 방위산업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첨단 산업 분야는 하나의 기업이 모든 것을 다 담당할 수 없는 만큼 기술개발부터 생산, 유통에 걸친 모든 과정에서 기술제휴, 업무협약, 지분투자등 다양한 방식으로 협업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루윈은 유상증자에 따른 최대주주 변경으로 신임 대표이사가 영입돼 각자대표 체제로 운영된다.

계속 대표이사를 역임해오던 남 대표는 자동차 센서등 기존사업과 연구개발 및 사업적 시너지 부분을 담당한다. 새로 선임된 박찬영 대표는 트루윈의 전반적인 경영과 AI반도체 및 열화상센서 등 신사업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특히 박 대표는 주주가치 실현을 위해 힘쓰며, 주주간 소통 강화를 위해 IR 및 PR 활동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사모펀드에 돈 쏟아붓는 은행들...5대 은행 36조 투자
  • FDA 재도전 불발된 HLB…무거운 분위기 감돈 주총장 [가보니]
  • 정용진·김동선도 출사표...유통가, 왜 테마파크에 꽂혔나 [K테마파크 르네상스]
  • 트럼프 “3선 농담 아냐…할 방법 있어”
  • 이혼 거치며 더 끈끈해지거나 소송하거나…다양한 부부의 세계 [서초동 MSG]
  • 김수현, 오늘(31일) 기자회견 연다…시간은?
  • [위기의 시진핑] ‘딥시크의 덫’에 빠진 시진핑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 이미지 생성 반응 폭발…렌더링 딜레이 속출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12: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063,000
    • -2.1%
    • 이더리움
    • 2,702,000
    • -1.85%
    • 비트코인 캐시
    • 447,600
    • -2.19%
    • 리플
    • 3,132
    • -4.6%
    • 솔라나
    • 188,800
    • -0.11%
    • 에이다
    • 979
    • -4.02%
    • 이오스
    • 866
    • -5.56%
    • 트론
    • 347
    • +0%
    • 스텔라루멘
    • 395
    • -2.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030
    • -2.77%
    • 체인링크
    • 20,000
    • -2.53%
    • 샌드박스
    • 403
    • -2.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