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당정, 21대 국회가 매듭짓게 연금개혁 논의 속도내야”

입력 2024-04-24 10: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4일 “연금개혁이 윤석열 정부의 핵심과제인 만큼 여당은 21대 국회가 책임지고 매듭지을 수 있도록 논의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17년 만에 개혁을 위한 국민 노력을 다시 수포로 돌려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의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공론화 과정에 참여한 시민 10분 중 6분이 소득보장 강화에 방점을 둔 연금개혁안을 선택했다”며 “소득대체율을 40%에서 50%로 올리고, 보험료도 14%로 올리자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500인 시민대표단이 직접 학습, 토론, 숙의 등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세 차례 설문조사를 거친 결과여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연금개혁은 더는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며 윤석열 정부와 여당인 국민의힘을 향해 “말만 하고 생색만 내고, 실제 행동하지 않고, 실천하지 않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프더라도 해야 할 일은 해야 한다. 권한에 책임이 따른다는 사실을 정부·여당이 확실히 깨우치길 바란다. 국민의 삶과 국가 미래가 직결된 사안인 만큼 민주당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했다.

앞서 연금특위 공론화위원회는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50%로 늘리고 보험료율을 13%로 높이는 방안(소득보장안)과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하고 보험료율을 12%로 올리는 방안(재정안정안) 등 두 가지 안을 놓고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492명의 시민대표단 가운데 56.0%는 소득보장안을, 42.6%는 재정안정안을 선택했다.

이 같은 공론화위 숙의 토론 결과를 두고 국민의힘은 “조금 더 내고 더 많이 받는 개악(改惡)”이라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소득보장 강화가 국민의 뜻”이라고 환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379,000
    • +1.46%
    • 이더리움
    • 2,383,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484,700
    • -2.47%
    • 리플
    • 3,117
    • +0.78%
    • 솔라나
    • 191,100
    • -0.42%
    • 에이다
    • 937
    • +0.54%
    • 이오스
    • 895
    • -1.21%
    • 트론
    • 364
    • -2.41%
    • 스텔라루멘
    • 349
    • -1.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00
    • -0.29%
    • 체인링크
    • 18,460
    • -0.32%
    • 샌드박스
    • 374
    • -3.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