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기업들의 단기유동성 자금이 지난해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실태 조사’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었다’는 기업이 전체의 45.7%로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33.6%였으며, ‘줄었다’는 응답은 20.7%에 그쳤다.
단기유동성 자금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7%가 ‘경제불확실성 증대’를 꼽았고 ‘금융권 신용경색에 따른 중개기능 약화’가 19.6%, ‘장기금융상품 투자메리트 감소’가 6.1%, ‘기업구조조정 대비’와 ‘투자처 발굴애로’가 각각 4.3%로 뒤를 이었다.
한편 상위 500대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이 전체 보유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0%로 전체 보유자금 중 단기유동성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매출액 기준 1~100위 기업의 단기유동성 자금 보유 비중은 74.8%로 가장 높았고 101~200위 기업이 64.7%, 201~300위가 61.2%, 301~400위가 60.8%, 401~500위가 58.7%로 조사됐다.
단기유동성 자금을 주로 사용할 곳으로는 ‘원자재 구입’(40.2%), ‘차입금 상환’(20.6%), ‘시설투자’(15.0%), ‘생산설비 운영’(11.8%), ‘기타 운영자금’(9.5%), ‘인건비 지급’(2.9%)의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단기유동성 자금 규모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9.3%가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답했고, 10.9%는 ‘지금보다 늘릴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줄일 계획’이라는 응답은 9.8%에 그쳤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경제 불확실성과 신용경색 우려로 기업들이 자금을 단기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 같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경기활성화 정책을 유지해 경기를 활성화 시키고 금융권 자본확충 등을 통해 금융시장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