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개관…오세훈 “전세계 기업·자본·인재 서울로”

입력 2024-05-29 14: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AI 분야 국내외 기업, 교육 등 핵심 거점
공군 AI 신기술융합센터 등 기관 유치
AI 글로벌 연구 협력 센터 공간 조성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외관. (자료제공=서울시)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외관. (자료제공=서울시)

서울 내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 ‘서울 AI 허브’의 핵심 앵커시설이 문을 열었다. 앞으로 서울 AI 허브는 양재·우면동 일대에 흩어져 있는 AI 산업 지원 시설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카이스트 AI 대학원·공군 AI 신기술 융합센터 등 국내·외 AI 산업의 산·학·연 역량을 한데 모아 인공지능 생태계 중심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전망이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초구 태봉로 108에 들어선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은 시가 신축한 첫 번째 지원시설이다. 그간 민간건물을 임차해 AI 산업을 육성하는 방식으로 시작한 ‘서울 AI 허브’는 이번 앵커시설 개관으로 면적이 7배 이상 늘어나게 됐다.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은 지하 1층~지상 7층 규모로, 협력기관과 기업 간 활발한 네트워킹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픈형 라운지와 협업 공간을 층마다 배치했다. 또 교육 공간, 대·중규모 회의공간. 기업 입주공간 등으로 조성돼 교육, 네트워킹, 기업투자유치 지원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시설에서는 AI 기술 연구 협력 및 대·중견기업 연계 네트워킹을 확대할 협력기관과 기업 재직자 대상 교육 및 우수 인재 공급을 지원할 교육기관을 유치한다. 이를 통해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확대, AI 기술 적용 융·복합 교육 확대 등 협력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아울러 서울 AI 허브의 운영기관인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교수진 주도의 ‘AI 글로벌 연구 협력 센터’ 공간 조성을 통해 국내 AI 연구자와 해외 연구기관 연구자가 연구 협력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저명한 해외 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을 초빙해 허브 소속기업 및 국내 AI 연구인력들의 세미나 등 글로벌 연구 협력 거점을 마련한다.

성장기업 입주공간으로는 중규모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20명 내외가 업무 가능한 4개의 공간을 마련했고, 현재 공개모집을 통해 3개의 기업을 선발해 입주했다.

현재 AI 허브 소속기업은 CES에서 최고혁신상(2개)을 포함해 총 16개의 혁신상을 받았으며, 졸업기업인 크라우드웍스는 국내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되기도 했다.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내 오픈형 라운지 공간. (자료제공=서울시)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내 오픈형 라운지 공간. (자료제공=서울시)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은 개관식에 참석해 “오늘날 AI 기술은 혁신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고, 서울시 행정도 올해를 '인공지능 대전환(AX)' 시대로 돌입하는 AI 행정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라며 “현재 서울시는 방대한 행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시만이 할 수 있는 ‘행정특화형 AI 모델’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인재와 기업, 자본이 서울로 모일 수 있도록 서울 AI 허브 개관을 시작으로 인적·기술 교류 확대는 물론, 투자와 글로벌 판로 개척에서의 시너지를 얻어 서울이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게 에너지와 역량을 아낌없이 쏟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2017년부터 AI 스타트업 육성기관을 조성해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입주·멤버십 기업으로 360여 개 기업을 육성·지원하고, 기업매출 3659억 원·투자유치 3694억 원 등의 성과를 거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45,000
    • -0.83%
    • 이더리움
    • 2,646,000
    • -0.41%
    • 비트코인 캐시
    • 449,100
    • +0.29%
    • 리플
    • 3,040
    • +1.64%
    • 솔라나
    • 171,200
    • -0.06%
    • 에이다
    • 955
    • +0.42%
    • 이오스
    • 1,193
    • +3.02%
    • 트론
    • 352
    • +2.03%
    • 스텔라루멘
    • 383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610
    • +0.07%
    • 체인링크
    • 18,770
    • -0.9%
    • 샌드박스
    • 384
    • +1.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