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전국 미분양 전월 대비 10% 급증…인허가·준공 물량 감소 ‘여전’

입력 2024-05-31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4년 4월 미분양 현황. (자료제공=국토교통부)
▲2024년 4월 미분양 현황.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올해 4월 전국 미분양 주택이 전월 대비 1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역시 전월 대비 6% 늘어나 9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국 주택 인허가와 착공 물량은 전월 대비 감소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4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총 7만1997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10.8%(7033가구)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은 1만2968가구로 전월 1만2194가구 대비 6.3%(774가구) 증가했다.

지역별 미분양 규모는 수도권은 1만4655가구로 전월(1만1977가구) 대비 22.4%(2678가구) 증가, 지방은 5만7342가구로 전월(5만2987가구) 대비 8.2%(4355가구) 늘었다.

지난달 인허가는 종합주택 기준 2만7924가구로 전월 대비 8.1% 증가했다. 다만 올해 인허가 물량 축소로 4월 누적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21.1% 줄어든 10만2482가구로 집계됐다.

착공은 지난달 4만3838가구 전월 대비 288.3% 증가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8만9197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6% 증가했다.

분양(승인) 규모 역시 착공 물량과 함께 대폭 늘었다. 지난달 전국 기준 2만7973가구가 분양해 전월 대비 912.0% 급증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7만661가구로 나타났다. 수도권 분양은 8113가구로 전월 대비 917.9% 증가했고, 지방은 1만9860가구로 전월 대비 909.7% 줄었다. 다만, 준공은 지난달 2만9046가구로 전월 대비 41.5% 감소했다.

주택 매매량은 지난달 전국 기준 5만8215건으로 전월 대비 10.2% 증가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총 24만5405건으로 전월 대비 1.0% 감소했다.

유형별 매매량은 아파트는 4만4119건으로 전월 대비 9.7% 증가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6.2% 증가했다. 아파트 외 거래량은 전월 대비 12.0% 증가한 1만4096건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12.0%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PF 보증 확대 등 정책 효과 등으로 인해 착공과 분양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미분양은 분양물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유심 대란' 유심보호서비스 앱·모바일 대기시간 무려 168시간?
  • 대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 82%…잔여화선 2㎞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0: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10,000
    • +1.81%
    • 이더리움
    • 2,598,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35,500
    • +7.83%
    • 리플
    • 3,322
    • +2.06%
    • 솔라나
    • 213,700
    • +0.75%
    • 에이다
    • 1,020
    • +1.09%
    • 이오스
    • 994
    • +2.69%
    • 트론
    • 361
    • +2.56%
    • 스텔라루멘
    • 409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950
    • -2.44%
    • 체인링크
    • 21,900
    • +4.63%
    • 샌드박스
    • 435
    • +3.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