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외교·안보 간담회..."올바른 대북정책·미국과 정책공조 필요"

입력 2024-06-19 13: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긴급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지원 전 국정원장, 이종석·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이재명 대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문정인 전 통일외교안보 특보.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긴급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지원 전 국정원장, 이종석·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이재명 대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문정인 전 통일외교안보 특보.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19일 과거 정부에서 외교·안보·통일 정책을 담당했던 원로들을 초청해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긴급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간담회에는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진성준 정책위의장, 임동원·정세현·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문정인 전 통일외교안보특보, 박지원·한민수 의원 등이 참석했다.

한 의원은 간담회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현 정부가 집권 이후 지속해온 북한에 대한 공세적 억제 정책 때문에 현재와 같은 위기 상황이 왔다는 의견과 함께 정부 차원의 올바른 대북 정책과 미국과의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이 야당이지만 수권정당으로서 안보위기 해결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고민을 해야 한다며 그 방안으로 미국·일본·중국·러시아와의 활발한 의원외교와 이 대표의 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 정례화 등이 제시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회의 모두발언에서 "한반도 상황이 매우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한 상태가 됐다"면서 "우리가 비록 야당이지만 한반도 안보 문제는 여야가 없이 반드시 해나가야 될 주요 정책 의제이기 때문에 오늘 의견들을 모아 안보정책 수립과 집행에 도움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를 향해 "이제라도 남북 평화와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전단을 뿌리는 탈북민 단체를 설득하고 제지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박 의원은 "남북 간에 합의된 합의문은 설사 북한이 지키지 않더라도 우리가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특보는 "불행하게도 지금 냉전 구조가 되살아난다는 현실을 목도해 걱정을 많이 한다. 민주당에서 냉전 구조가 되살아나는 것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중점을 두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힘에 의한 평화'와 편향적 이념외교는 국가이익도, 국민 안전도 제대로 지키지 못한다"며 "한중일 정상회의에 이어 어제(18일) 열린 한중 안보대화의 틀을 활용해서 남북 간 대화채널을 복구해야 한다. 그리고 다자간 실용외교를 통해 국익 확보의 계기로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싸울 필요가 없는 평화야말로 진정한 안보"라며 "가장 튼튼한 안보, 유능한 안보가 바로 평화 구축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새겨야 한다. 평화를 위해서 노력해야지 자꾸 힘을 과시하는 것은 평화를 오히려 위협하고 한반도를 불안정하게 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37,000
    • +0.21%
    • 이더리움
    • 4,760,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1.46%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199,600
    • -0.15%
    • 에이다
    • 543
    • -1.63%
    • 이오스
    • 799
    • -3.97%
    • 트론
    • 177
    • +1.72%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0.96%
    • 체인링크
    • 19,170
    • -3.86%
    • 샌드박스
    • 460
    • -3.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