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 “2030년까지 비계열 매출 비중 40%까지 확대”

입력 2024-06-28 15: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글로비스, ‘2024 CEO 인베스터 데이’ 개최
물류 서비스 사업 대상 산업 전반으로 확대
스마트 물류·사용 후 배터리 등 신사업 집중 육성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글로비스)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가 2030년까지 비계열 매출 비중을 4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물류 서비스 사업 대상 역시 자동차 산업군에서 산업 전반으로 확장한다.

현대글로비스는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신사업을 포함한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비계열 매출 비중 40%로…타깃 시장 산업 전반으로 확대

이날 현대글로비스 기업의 정체성을 물류의 ‘연결’에서 ‘완결’로 보다 주체적이고 광범위하게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회사 타깃 시장도 자동차 산업군에서 산업 전반으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는 현대차·기아 등 그룹사 전담 솔루션 공급자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신생 전기차 제조사와 아시아계 완성차 회사 등을 공략하며 비계열 매출 확대 전략을 펼치기로 했다. 특히 신생 전기차 생산 업체의 경우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대한 요구가 높은 만큼 현대글로비스와 적절한 협업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글로비스는 2030년까지 회사 전체 매출 중 비계열의 비중을 40%까지 높일 계획이다.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해선 비계열 사업 확대가 필수라는 판단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종단 간(E2E) 물류 솔루션 사업을 추진한다. E2E는 화물의 출발에서부터 최종 도착까지 물류 전 영역을 아우르는 것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선적지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고 선박, 항공, 철도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며 최종 도착지에서 통관, 보관, 내륙 운송 업무까지 처리하는 ‘물류 토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사업의 대상도 기존의 자동차 부품에서 전기차 배터리, 건설 기계, 에너지 설비 등 전후방 인접 영역으로 확장한다. 향후 금속, 화학, 바이오,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산업군까지 고객 폭을 넓힌다는 목표다.

우선 최근 성장하고 있는 배터리 제조 산업군으로 사업 대상을 넓히고 있다. 공장 설립 단계의 프로젝트 물류부터 원자재 조달, 생산, 완제품 판매·창고관리, 회수 물류까지 물류 수요 전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회사의 주요 수익 사업 중 하나인 자동차선·벌크선 등 해운 부문에서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해 글로벌 톱 틔어 의 위치를 더욱 견고히 한다.

자동차 운반선의 경우 현재 소화하고 있는 연 340만 대 수준의 완성차 해상운송 물량을 2030년 약 500만 대까지 키울 계획이다. 이는 2030년 글로벌 완성차 해상운송 시장 전체 예상 물동량(2400만 대)의 약 20% 수준으로 전 세계 자동차 운반 선사 중 1위에 오른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현대글로비스는 자동차선 선대 규모를 2030년 128척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미 6척의 신조를 위한 1조 원가량의 투자를 결정했고 22척의 장기 용선(빌린 선박)도 확보한 상태다.

벌크선 사업에선 향후 시장성 높은 액화천연가스(LNG) 및 액화석유가스(LPG) 해상운송에 뛰어든다. 나아가 다가오는 수소 사회를 대비해 미래 에너지로 꼽히는 암모니아, 액화수소의 해상운송을 위한 기술력도 확보하기로 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올해부터 LPG 운송선 2척, LNG 운송선 1척을 이미 글로벌 가스 운송 시장에 투입하고 본격 수행 중이다. 2027년에는 LNG 운송선 4척이 추가돼 중동 고객 물량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어 2031년에는 암모니아 및 액화수소 운송을 위한 행보도 가시화할 전망이다.

스마트 물류·사용 후 배터리 등 신사업 집중 육성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은 시장 성장세를 전망하고 가용 자원을 적극적으로 투입해 사업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스마트 물루 솔루션은 물류센터의 자동화를 위해 최적화된 프로세스와 시스템 및 설비로 구성된 솔루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 등 기술을 적용하고 물류센터 내 프로세스에 맞춰 분류, 보관, 이송, 피킹(Picking) 등 다양한 설비와 이를 컨트롤하는 소프트웨어를 구축, 공급하게 된다.

올해 현대글로비스는 한국초저온과 약 300억 원 규모의 물류 자동화 시스템 공급 계약을 맺는 등 사업을 구체화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설비 납품 중심의 기존 사업자와 달리 물류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물류기업인 만큼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으로는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가상모형) 등 소프트웨어와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자동화 설비 등 하드웨어 기술 역량을 접목해 물류 시장의 스마트화 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친환경 전략 소재 공략에도 속도를 올린다. 현대글로비스는 특히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공격적으로 전개, 확장해 매출 성장의 한 축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자동차 산업군 물류의 중심에 있는 현대글로비스는 자원들이 ‘조달→제품생산→상품판매→애프터마켓→조달’로 다시 이어지는 자원 재순환 생태계 구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소요 비용 중 물류비가 40%를 차지하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시장에 주목한다. 공급망 관리 노하우를 발휘해 비용 절감을 돕고 운영 효율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는 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 ‘이알’에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이를 통해 전처리 기술과 설비 사용에 대한 역량을 갖췄다. 2021년에는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용 후 배터리 수거를 위해 전용 회수 용기 특허를 취득했다.

앞으로도 현대글로비스는 선제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사용 후 배터리의 전략적 글로벌 거점 설립, 전처리 기술 고도화, 배터리 전용 물류 공급망 최적화 등 관련 기술 경쟁력을 내재화하고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40년 북미·유럽·국내 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한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400,000
    • +5.98%
    • 이더리움
    • 4,433,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737,000
    • +19.16%
    • 리플
    • 1,568
    • -0.88%
    • 솔라나
    • 340,800
    • +2.93%
    • 에이다
    • 1,105
    • -4.41%
    • 이오스
    • 899
    • -0.11%
    • 트론
    • 280
    • +1.08%
    • 스텔라루멘
    • 335
    • -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5,500
    • +10.18%
    • 체인링크
    • 20,400
    • -0.2%
    • 샌드박스
    • 470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