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권플랜' 조기가동...인재풀 확대·정책위 강화

입력 2024-09-01 13: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인천 네스트호텔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2024 정기국회 대비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인천 네스트호텔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2024 정기국회 대비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2기 체제를 맞아 3년 뒤 대통령선거 승리를 목표로 '대권 플랜'을 조기에 가동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대선을 겨냥해 인재풀을 넓히고 분야별 전문가를 중심으로 당의 정책 역량을 강화하려는 모습이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난달 26일 당 인재위원장에 정성호 의원이 임명되면서 조성되기 시작됐다.

정 의원은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으로 꼽히지만, 이 대표 체제에서는 공식적인 당직을 맡은 적이 없다. 정 의원은 자신이 당직을 맡을 경우 이 대표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뜻을 보였으나 이번에는 인재위원장직을 고사하지 않았다.

인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이 대표가 총선 인재 영입을 위해 위원장을 겸직했을 정도로 당에서 비중을 두는 위원회다. 정 의원은 2027년 대선까지 염두에 두고 이 대표를 도울 인재 수혈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주목되는 민주당의 또 다른 움직임 중 하나는 당의 정책역량 강화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지난달 29일 열린 '2024 정기국회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정책조정위원회 산하에 민주당 집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구를 별도로 꾸리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정책조정위의 정책 조언 요청에 응할 정책자문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할 생각"이라며 "문재인 정부에 참여했던 전문가와 지난 대선에 정책적으로 조력해준 전문가 그룹으로 당의 정책 역량을 보강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애초 정책위 산하에 새 정책을 발굴하는 정책기획위원회 운영을 구상했으나, 집권 계획을 좀 더 염두에 둔 정책개발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구상을 재검토하고 정책자문위를 추진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정 의원의 인재 확보 작업과 당의 정책 역량 강화는 이 대표의 대권 도전 계획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될 전망이다. 야권 일각에선 민주당의 대권플랜 조기 가동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등의 시나리오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지만, 민주당은 이에 대해 '확대해석'이라는 입장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버이날 선물이었는데…포장 뜯은 '민낯' 투썸 케이크에 당황 [해시태그]
  •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범죄 피해 입었을 때 빠르게 회복하려면…‘범죄 피해자 구조금 제도’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20,000
    • +2.75%
    • 이더리움
    • 2,595,000
    • +2.57%
    • 비트코인 캐시
    • 518,500
    • +2.78%
    • 리플
    • 3,031
    • +1.58%
    • 솔라나
    • 208,800
    • +2.45%
    • 에이다
    • 964
    • +4.1%
    • 이오스
    • 1,021
    • +4.4%
    • 트론
    • 350
    • +0.29%
    • 스텔라루멘
    • 372
    • +1.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650
    • +2.79%
    • 체인링크
    • 19,580
    • +3.16%
    • 샌드박스
    • 388
    • +1.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