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보험사가 회사 고유의 보험리스크를 직접 산출,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부모형 승인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5일 보험연구원은 '보험리스크 측정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라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의 금융위기로 인해 보험사의 정확하고 합리적인 위험액 측정이 중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위험액을 하회하는 자본량 보유는 지급불능상태를 유발할 수 있고 위험액을 상회하는 자본량은 과도한 자본비용을 유발한다며 시뮬레이션법, 푸리에변환법 등 동학적이면서 확률론적인 방법을 도입해 위험액을 측정해보고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러한 방법론은 손해보험사의 전반적인 위험액 측정에 사용될 수 있지만 현재 생명보험이나 손해보험과 구분해 측정되지 않고 있는 민영건강보험의 위험액을 국제적인 추세에 부합하도록 구분해 측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우리나라의 경우 모든 보험사에 동일한 위험계수를 적용하는 표준모형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몇몇 보험사의 경우 실제 위험계수보다 큰 위험계수를 적용하게 된다.
실제로 최근 3년간(2005~2007년)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 대형4개사와 중소형사로 나누어 계산한 위험계수 측정 결과 대형4사 0.3747, 중소형사 0.4053(시뮬레이션법 경우)로 중소형사의 위험계수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어 리스크 풀(Risk Pool)이 커지면서 규모의 효과, 위험의 분산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연구원측은 분석했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감독당국과 개별 보험사는 적정한 요구자본량을 산출하기 위한 위험액 측정모형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산출된 위험액을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전사적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