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1%대 경제성장률 내놓을까…수정경제전망 ‘이목’

입력 2024-11-2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이달 28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때 수정경제전망도 발표
기존 올해 성장률 전망치 2.4%·내년 전망치 2.1% 예상
3분기 GDP 예상밖 성장 쇼크 이후 전망치 수정 불가피

▲한국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과자 수출액이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과자류 수출액은 4억9420만달러(약 6605억 원)로 작년 동기보다 15.4% 증가했다. 과자류 수출액은 농식품 품목 중 라면, 연초류(담배와 전자담배)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올해 1월부터 추석 전인 이달 둘째 주까지 수출액은 5억2910만달러(약 7071억원)로 집계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과자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한국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과자 수출액이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과자류 수출액은 4억9420만달러(약 6605억 원)로 작년 동기보다 15.4% 증가했다. 과자류 수출액은 농식품 품목 중 라면, 연초류(담배와 전자담배)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올해 1월부터 추석 전인 이달 둘째 주까지 수출액은 5억2910만달러(약 7071억원)로 집계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과자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한국은행이 내년 1%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을지 이목이 쏠린다. 올해 경제성장률을 놓고 국내외 금융회사 및 기관에서 잇따라 하향 조정한 가운데 내년 전망치는 1%대 후반도 거론되는 만큼 한은의 경제진단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은은 28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는 당일 수정경제전망도 함께 발표한다. 직전 전망 때인 8월에 예상했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은 각각 2.4%, 2.1%였다. 올해 전망치는 5월에 2.1%에서 2.5%로 상향 조정된 후 8월에 다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2월에 2.3%였으나 5월에 2.1%로 내렸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당초 전망치였던 0.5%를 한참 밑돈 0.1%를 기록하면서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얼만큼 조정할지가 고민일 뿐 하향 조정은 기정사실화됐다. 특히 내년 전망치가 다시 1%대로 떨어질지가 화두로 떠올랐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2.2%에서 2.0%로 낮췄다. 한국금융연구원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내렸고, 내년은 2.0%로 예상했다.

시장의 전망치는 더 낮게 나오고 있다. 김진욱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전망치는 2.2%, 내년 전망치는 1.8~2.0%로 각각 예상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을 1%대로 전망하는 것은 한은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작년 1.4% 성장에서 올해 2%대로 힘겹게 성장했는데, 다시 1%대로 내려갈 수 있다는 진단을 내놓는 것이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은 2.3%, 내년은 2.0%로 각각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내년에 최종적으로 1.9% 내지 1.8%까지 충분히 내려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며 “트럼프 2기가 들어선 후 어떤 정책이 나올 지 모르는 상황에 성장률을 미리 (1%대로) 깎아둘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은 2.2%, 내년은 2.0%로 예상한다”며 “이번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의결문 자체도 그동안 물가, 금융안정을 고려했다면 3분기 성장률이 잘 안 나왔고, 수출 경기 우려가 커진 상황이어서 성장 쪽으로 포커스를 맞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장기전략리서치부장은 올해 2.2%, 내년 1.9%로 각각 전망했다. 공 부장은 “11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동결을 통해 향후 추가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140,000
    • +1.67%
    • 이더리움
    • 2,817,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459,400
    • -0.13%
    • 리플
    • 3,175
    • +0%
    • 솔라나
    • 193,700
    • +3.14%
    • 에이다
    • 1,016
    • +0.99%
    • 이오스
    • 1,219
    • +19.98%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401
    • -1.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750
    • +0.25%
    • 체인링크
    • 20,650
    • -1.71%
    • 샌드박스
    • 407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