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이차전지, 가상화폐 등 신사업 추진을 발표한 상장사 가운데 실제 매출을 내는 곳은 10곳 중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업들은 경영 안정성이 낮고, 횡령·감사의견 거절 등으로 상폐사유가 발생하는 등 내부통제 문제점에 노출된 코스닥 상장사들이 대부분이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기준 1년간 정관에 사업목적을 추가·삭제·수정한 178사와 지난해 기재부실이 심각했던 146사 등 총 324사에 대해 '신사업 진행상황 공시 점검 및 사업진행 실태 분석' 결과 이같은 내용을 25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작성기준을 모두 준수한 회사는 44.8%(145사), 세부 점검항목에서 최소 1개 이상 미흡한 회사는 55.2%(179사)로 집계됐다. 179사 중 46.6%는 '사업 추진현황 및 미추진 사유', 30.9%는 '사업목적 변경내용 및 사유'에서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 미흡률은 코스닥상장사(60.8%)가 코스피(42.3%)보다 18.5%p(포인트) 높았다.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이차전지, AI, 로봇, 가상화폐, 메타버스, 신재생에너지, 코로나 등 주요 7개 테마업종 관련 신사업 공시한 회사 131사를 분석했을 때 이차전지(56사), 신재생에너지(41사)를 기존 사업과 무관하게 유행에 따라 사업 목적으로 추가한 회사가 가장 많았다.
관련 뉴스
이어서 인공지능(28사), 로봇(21사), 가상화폐·NFT(19사), 메타버스(9사), 코로나(2사) 순으로 나타났다. 연중 시기적으로는 주로 연초에 사업목적이 집중적으로 추가됐고, 테마업종을 추가하는 회사 수는 △2022년 208사 △2023년 123사 △2024년 53사로 감소세였다.
이처럼 사업목적으로 7개 테마를 추가한 86사 중 관련 매출이 실제 발생한 곳은 18.6%(16사)에 불과했고,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하는 경우 9.3%(8사) 뿐이었다. 사업추진 내역이 없는 31.4%(27사) 중 11사는 미추진 사유도 기입하지 않았다.
사업 추진현황이 존재하지 않는 27사의 48.1%(13사)는 최근 3년 연속 영업손실, 최대주주가 변경된 상황이었다. 또한 공시 지연 등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횡령·배임, 감사의견 거절 등으로 관리종목 또는 상폐사유가 발생하거나 자본잠식에 놓였다.
금감원은 작성기준에 미흡한 179사에 중점점검 결과 및 공시 모범사례를 통보해 다음 정기보고서 작성 시 보완하도록 할 예정이다. 기재부실이 심각한 회사에 대해서는 향후 사업보고서 등 중점점검 대상으로 선정하여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