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세계 최초 원전 특화형 초거대 인공지능 구축 착수

입력 2024-12-11 13: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내 데이터센터에 구축…"원전 안전성 높일 것"

▲전대욱 한국수력원자력 경영부사장(가운데)이 11일 서울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왼쪽) 및 장인수 베스핀글로벌 대표이사와 '한수원형(型) 생성형 AI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전대욱 한국수력원자력 경영부사장(가운데)이 11일 서울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왼쪽) 및 장인수 베스핀글로벌 대표이사와 '한수원형(型) 생성형 AI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세계 최초로 원전 특화형 초거대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에 나선다.

한수원은 11일 서울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네이버클라우드 및 베스핀글로벌과 '한수원형(型) 생성형 AI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인공지능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한수원은 이번 계약을 통해 네이버클라우드의 초거대 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 X'에 원전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외부망으로부터 분리된 사내 데이터센터에 설치하고, 베스핀글로벌의 챗봇 서비스인 ‘HelpNow AI’를 이용해 한수원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원전에 특화된 초거대 생성형 AI를 구축하는 것은 세계 최초다.

일반적으로 챗GPT, 코파일럿 등 초거대 언어모델 서비스는 공공 클라우드망을 통해 제공되지만, 데이터의 보안이 중요한 한수원은 국내 공공기관 최초로 이를 사내망에 구축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2025년 3월 사내에 하이퍼클로바 X 서비스를 개시해 임직원들이 사내 업무망에서 문서요약, 번역 등과 같은 생성형 AI의 범용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후 2025년 7월까지 한수원 데이터 학습을 완료하고 △원전건설 △발전 △정비작업 △안전 △수력·신재생 △대외기관 대응 △AI Assistant 등 7대 업무 분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 업무 생산성을 높일 방침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엄격한 규제와 품질이 요구되는 원전 산업에 AI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원전 안전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일 것"이라며 "이번 네이버클라우드와 베스핀글로벌과의 사업을 통해 한수원이 원전 분야에서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75,000
    • +1.04%
    • 이더리움
    • 2,761,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51,000
    • -1.7%
    • 리플
    • 3,094
    • -0.93%
    • 솔라나
    • 184,500
    • -1.81%
    • 에이다
    • 988
    • -1.3%
    • 이오스
    • 1,146
    • +11.91%
    • 트론
    • 352
    • +0.57%
    • 스텔라루멘
    • 394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600
    • -3.36%
    • 체인링크
    • 20,000
    • -1.82%
    • 샌드박스
    • 398
    • -2.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