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 부지에 프라임 오피스 들어선다

입력 2025-01-23 08: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엑스 개발계획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코엑스 개발계획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일대가 국제 비즈니스·교류 중심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도심공항터미널 부지에 프라임 오피스와 전시장이 들어서고 도심 공항서비스도 재개된다.

23일 서울시는 '코엑스 일대 개발계획안'을 마련하고 이날부터 주면 의견 청취를 위한 열람공고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대상지 일대는 1980년대 '한국종합무역기지건설 기본계획 수립' 이후 컨벤션센터, 도심공항터미널, 호텔, 백화점, 쇼핑몰, 공연장, 업무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며 꾸준히 발전해왔다.

서울시는 공항버스 정류장과 예식장 등 현재 이용이 저조한 시설이 있는 도심 공항터미널부지에 프라임 오피스를 도입해 마이스 시설과 연계한 국제업무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저층부에는 연면적 약 9900㎡의 문화예술 전시장을 도입해 키아프 서울, 프리즈 서울 등 다양한 예술행사와 시너지 창출을 꾀한다.

도심공항터미널 폐업 이후 주민들로부터 운영 재개 요청이 계속됐던 도심 공항서비스 기능은 2029년 완료 예정인 코엑스 리모델링 사업과 연계해 되살린다.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보행환경이 양호한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연접부로 도심 공항 기능을 이전 배치해 국제교류복합지구를 찾는 외국인과 관광객, 시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도심 공항서비스에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 중인 이지드랍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건물 내외부의 공공성도 높인다. 별마당 도서관과 상업시설이 운영 중인 코엑스 지하에는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와 직접 연결되는 출입구 2개소를 신설해 광역급행철도(GTX), 도시철도, 버스 등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을 확대한다.

또 실내·지하 공공보행통로를 개선해 삼성역과 봉은사역 일대 도보 이용 편의성을 높인다.

외부공간은 한강·탄천 수변공간부터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지상 광장을 거쳐 선정릉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공개공지·공공보행통로를 재편한다.

김창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코엑스 일대 개편을 통해 우리나라 대표 마이스 공간이자 글로벌 업무·상업·문화 기능을 고루 갖춘 마이스 선두주자로서의 위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89,000
    • +2.07%
    • 이더리움
    • 2,597,000
    • +2.32%
    • 비트코인 캐시
    • 542,500
    • +7.43%
    • 리플
    • 3,162
    • +0%
    • 솔라나
    • 217,800
    • -0.18%
    • 에이다
    • 1,032
    • -0.86%
    • 이오스
    • 986
    • +0.61%
    • 트론
    • 351
    • -0.85%
    • 스텔라루멘
    • 410
    • +2.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550
    • +52.24%
    • 체인링크
    • 21,680
    • +0.93%
    • 샌드박스
    • 442
    • +2.79%
* 24시간 변동률 기준